국가안보와 군사작전권,평시작전권 협상과정,911테러,
- 최초 등록일
- 2013.01.09
- 최종 저작일
- 2013.01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2,700원
소개글
국가안보와 군사작전권,평시작전권 협상과정,911테러,
목차
Ⅰ.서론
Ⅱ.본론
1.이슈의 연계화
1)평시작전권
2)전시작전권
2.국내정치
3.협상자의 협상과정
1)평시작전권 ①시대적인 상황
②윈셋 측면에서 본 평시작전권 협상과정
2)전시작전권 ①시대적인 상황
②윈셋 측면에서 본 평시작전권 협상과정
4.최고지도자의 성향
1)평시작전권 ①이승만
②박정희③전두환④노태우⑤김영삼
2)전시작전권 ①김대중②노무현
5.국제정세
1)냉전
2)탈냉전
3)9.11테러
4)그 후
Ⅲ.결론
본문내용
1. 이슈의 연계화
1) 평시작전통제권
한국에서 작전통제권 환수와 관련한 논란은 ‘주권적 자존’문제와 결부되어 끊임없이 거론되어 왔다. 한?미간 평시 작통권 환수문제가 본격적으로 거론되기 시작한 것은 노태우 대통령의 제6공화국이 출범한 직후부터였다. 당시 “민족자존”을 국정목표의 하나로 내세운 6공 정부는 평시 작통권을 가능한 조기에 환수하는 문제 등을 적극 추진하였다. 한편 미국 내에서도 의회를 중심으로 주한미군의 단계별 감축 및 역할 변경을 추진하는 움직임이 일어났다. 미국은 소련과 첨예하게 대립하여 오던 냉전이 종식됨에 따라 전 세계적인 안보태세와 자체의 국방정책 및 전략에 일대 변화를 맞이하게 되었는데, 그 일환으로 넌-워너(Nun-Warner) 수정안이 1989년 8월에 통과되었다. 이 보고서에서 “점진적으로 미군의 역할을 주도적 역할에서 보조적 역할로 전환해 나가겠다”고 밝힌 것은 작통권 환수 논의를 가중 시켰다.
작전통제권 환수 논의는 김영삼 정부에도 이어졌다. 그 무렵1) 국내 시민사회와 여론은 1990년대 이후 한국사회의 민주화와 개방화를 통해 국가 주요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참여 기회를 증대시켜, ‘주한미군 지위협정(SOFA)’개정문제, 노근리 사건 등에 국민들의 관심이 집중되어 미군에 대한 배타적인 감정이 일고 있었다. 또 이 당시 한국의 국력신장과 북방정책에 따른 공산국가와의 관계 개선 등은 한국의 위상을 높이게 되었고 이로 인해 한국에서는 한미 동맹관계에서의 불평등한 요소의 개선과 자주성 확대의 요구로 진행되었다. 문민정부의 출범과 이에 대한 기대, 높아진 한국의 위상으로 인한 시민사회의 여론 등은 평시 작전권 환수에 좋은 여건이 되었으며, 과거 군사정부와 차별화 될 수 있는 큰 업적에 관심이 있었던 김영삼 대통령은 어떠한 방법으로든 작전권을 환수하려는 강한 의지를 갖추고 있었다.
참고 자료
송재익. 「한미동맹과 한국군의 작전통제권 변동요인 연구」 2009.
김상원. 「외교정책결정과 대통령의 믿음체계에 관한 연구」 2011.
이상현. 「전시작전통제권 전환과 한미동맹의 제 문제」 2007.
한국국방안보포럼, 「전시작전통제권 오해와 진실」플래닛미디어」2006
홍성표 역, 「미래전」연경,2000
김종대,「노무현, 시대의 문턱을 넘다」나무와 숲,2010
김정기,「패전이냐 승전이냐」선인, 2012
정욱식,「21세기의 한미동맹은 어디로」한울, 2008
공보처. 『제6공화국실록:노태우대통령정부5년』. 서울공보처, 1992.
국방부 군사편찬연구소. 『한미군사관계사 1871~2002』. 국방부, 2002.
국방부. 『한미안보협의회의(SCM)공동성명』. 국방부정책기획부, 2003
국정홍보처. 『참여정부 국정운영백서』. 국정홍보처, 20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