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학점]과거와 현재의 교육평가는 어떻게 다른가. 더 나아가 올바른 교육평가의 모습은 무엇인가
- 최초 등록일
- 2012.12.22
- 최종 저작일
- 2012.12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000원
![할인쿠폰받기](/images/v4/document/ico_det_coupon.gif)
소개글
경쟁이 없어도 행복을 꿈꿀 수 있는 교육을 위하여_
를 제목으로 과거의 평가교육과 이에 대한 문제점, 나아가 현재의 평가교육과 올바른 평가모습을 종합적으로
서술한 보고서입니다.
분량과 내용 두 부분에서 모두 탁월한 보고서입니다.
목차
1. 전통적 평가의 문제점
2. 대안적 평가(현대 평가의 모습)
3. 다른 나라의 평가방법
4. 내가 생각하는 바람직한 평가의 모습
5. 자기 평가
6.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전통적 평가의 문제점
전통적인 평가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지적할 수 있는 것은, 전통적인 평가가 학생들에게 높은 수준의 고차원적인 사고를 발달시키지 못한다는 점이다. 둘째, 전통적인 평가는 평가와 서열화를 최상의 목적으로 강조하고 있다는 점이다. 학습의 목적이 오직 학생들의 능력을 평가하여 이들을 점수에 따라 서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이다. 셋째, 교육과정과 수업의 목적이 사지선다형 문제를 풀기 위한 수단으로 전락해서 수업의 질이 계속 떨어지고 있다는 것이다. 넷째, 전통적인 평가는 오늘의 다문화적인 사회 특징을 반영하지 못할 뿐만 아니라 기득권의 권력과 부를 재생산하는 기능을 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외의 문제점으로서 전통적인 평가는 학습의 주객전도를 가져왔다. 평가는 학습의 마지막 부분에서 이루어져야 하는데, 전통적인 선다형 지필평가의 경우에는 평가가 전체 학습을 결정한다.
2)적극적 학습
자기 평가의 두 번째 효과는 적극적 학습이다. 즉, 학생들에게 학습의 초기 과정부터 자기평가의 중요성을 인식시키고, 자신들의 학습 결과와 과정에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하고 도와준다면 자기평가는 학습자를 수업에 적극적으로 참여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Wagner(1992)는 대부분의 학생들이 그들의 강점과 약점, 목표나 성취에 대해 제한된 관점을 가지고 있으며 그들 자신을 부정적으로 보는 경향이 있음을 밝히고 있다. 이러한 경향은 학생들이 스스로의 학습 과정과 결과를 평가하는 경험이 없고 훈련이 되어 있지 않았기 때문에 그리고 그러한 기회가 주어지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면서 적극적 학습이 자기평가와 상호 관련이 있음을 강조하였다.
참고 자료
수호믈린스키(2010), 선생님께 드리는 100가지 제안, 경기; 고인돌
박성숙(2010), 독일을 알면 행복한 교육이 보인다- 꼴찌도 행복한 교실, 경기; 21세기 북스
황 정규(1998), 학교학습과 교육평가, 서울; 교육과학사
김영천(20070, 현장 교사를 위한 교육평가(Standard-based Assessment), 서울; 문음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