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품이든 식품이던, 보조제이던 간에 동물용으로 나오는것에 대해 믿음을 가지고 있지 않습니다. 왜냐하면 대부분의 약품이나 식품첨가물 중에 이미 개발하였으나, 사람에게 사용할수 없는 경우 대부분 동물 약품 혹은 식품첨가물로 둔갑하여 팔리게됩니다.
아래는 현재 동물에게 사용가능한 항생제에 대한 자료입니다만, 대부분의 항생제는 현재 사람에게 사용이 불가능한 것임을 잘 살펴보시기 바랍니다.
사료내 혼합가능 동물용의약품의 검토
근거 : 유해사료의 범위와 기준 (개정고시 2004.12.6 농림부)
1. 클로르테트라싸이클린 (Chlortetracycline)
2. 옥시테트라싸이클린4급암모늄 (Oxyrtetracycline NH4+)
• (1~2번) 테트라싸이클린(tetracycline)은 광역성 항생물질로서 처음 소개되었을 때는 인체의 질병치료에 광범위하게 사용하였으나 최근에는 점차 그 용도가 줄어들고 있다.
가장 흔히 나타나는 부작용은 오심, 구토, 상복부 통증, 설사, 구강염, 설염 등의 소화기계통의 증상이다. 테트라사이클린은 간장독성을 가지고 있으며, 특히 콩팥기능 장애 환자에서 자주 나타난다. 신장독성도 가지고 있으며, 드물게 피부발진이나 발열 등의 알러지 반응과 일광과민증이 나타나기도 한다. 또한 테트라사이클린은 광역성 항균제이므로 캔디다(Candida albicans)나 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에 의한 기회감염이 나타나기도 한다.
그리고 유아 및 소아에 테트라싸이클린을 투여하였을 때 치아 및 뼈가 황갈색으로 나타나는 현상이 나타나므로 임신 4개월이 지난 임산부 및 소아에서는 테트라사이클린을 투여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3. 바시트라신아연 (Bacitracin Zn) 4. 바시트라신메칠렌디살리실레이트
• (3번~4번) 바시트라신(Bacitracin)은 인의에서 주로 크림 혹은 연고상태로 국소적용한다. 주사로 인체에 투여했을 경우 콩팥 세뇨관 장애를 일으킨다. EU에서는 바시트라신 내성균 증가와 향후 인체에서 반코마이신 내성균 치료제로 사용 가능성(현재는 인체 피부, 점막 국소 치료용으로 사용)이 있으므로 사료첨가용으로 사용을 금지하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