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경(縮景)
자연명소의 풍경이나 나아가 세계 전체의 이미지를 응축
축소되고 상징화된 초자연적 광경을 만들어 명상하기 위한 조원술로 정원의 디자인에 자주 응용
*일본의 공간은 자연을 자신의 공간에 끌어넣고 역으로 자신의 공간을 자연에 동화하려는 것을 기본으로 외부공간과의 관계를 맺는다. 이는 자기 인식 속 소우주의 창조와 그것을 통해 자연을 바라보는 일본인들의 우주론적 자연관을 보여주는 현상이다.
<중 략>
21st Century Museum
1999~2004
Japan, Kanazawa
갖가지 대형 비율을 가진 전시실은 독자적으로 자유로운 공간으로 짜여져 있다.
글래스와 중정에 의해 교류 존과 미술관 존 등이 구획되어 있으나 투명한 구획의 특성으로 인해 전시 공간을 이동하면서도 교류 존에서 일어나는 상황이나 외부의 경치를 울타리 사이로 감상할 수 있으며, 중정에서는 하늘이 보인다.
중앙부에 있는 미술관 존의 전시실 중 상당수는 천창 방식의 유리 천정이 되어 있고, 전시실 안에서 작품을 보고 있을 때도 자연광에 의해서 밖의 빛의 변화가 느껴질 수 있도록 하였다.
21st Century Museum
1999~2004
Japan, Kanazawa
전시 공간을 제외하면 솔리드한 벽이 없고 파티션이 모두 투명한 유리로
되어있어 각각의 공간에서 벌어지는 액티비티가 한눈에 보이기 때문에
미술관 내부는 항상 활기찬 느낌의 커뮤니티 센터를 연상시킨다.
<중 략>
SANAA는 21세기라는 시대적 전환점에 적합한 새로운 개념의 미술관을 제안함으로써 지역 문화의 활성화를 도모하기 위한 목적으로 공원과 같은 건축을 생각하였다.
얇은 곡면 유리로 이루어진 외주의 원은 투명성을 이용해 물리적 경계를 무너뜨리고 반사와 투과를 만들어 냄으로써 주변 환경을 내부로 끌어들여 안과 밖의 구분 없이 상호 소통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곡면창을 통해 가변성을 가짐으로써 다양한 관계를 만들어낸다.
참고자료
· EL Croquis, SANAA (1983-2008)
· SHIFT (SANAA AND THE NEW MUSEUM)
· 이준수, SANAA건축에 나타나는 비재현적 공간의 생성에 관한연구_홍익대 석사논문,2012
· 편영희, 이소진, 박찬일 SANAA의 미술관 건축에서 나타나는 공공성 구현의 방법과 디자인 특성에 관한 연구: 공간구문론에 의한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디지털디자인협의회논문집,2011
· 윤비아, 전유창, 김성욱 현대 건축에 나타나는 반투명성의 구축기법에 관한 연구 : SANAA와 Kengo Kuma의 외피 구성을 중심으로, 대한건축학회논문집,2011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