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흥길의 장마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2.12.11
- 최종 저작일
- 2012.12
- 12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윤흥길의 장마 분석에 대한 과제입니다.다양한 자료와 문헌을 참고하여 작성했습니다.많은 도움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장마의 선행연구 정리
Ⅲ. 작품 속에 드러난 갈등과 화해의 양상
1. 갈등의 원인
2. 화해의 동력
Ⅳ. 교과서 구성의 분석
Ⅴ. 장마의 현실적 수용
Ⅵ.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Ⅰ. 서론
1950년도에 발발한 625는 동족상잔의 비극이라는 점에서 우리 민족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다. 전쟁 이후로 문학계에서는 625를 소재로 하여 그 상처를 극복하고자 시도해왔다. 윤흥길의 중편소설 장마(1970) 역시 그러한 목적의식 아래 창작된 소설이라 할 수 있다. 장마와 같이 유년기의 전쟁 체험을 그려낸 1970년 대 일군의 소설들은 625를 단순히 과거사로 고착시키는 대신 ‘오늘’과 ‘여기’에 분명하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으로 파악하고자 하였다. 즉, 625는 1950년도에 발생한 ‘역사’이면서 동시에 1970년대를 살아가는 동시대인들의 ‘현실의 일부분’이었던 것이다. 이는 2011년 현재를 살아가는 우리에게도 마찬가지이다. 여전히 남한과 북한은 분단 상태에 있으며, 포격 사건이 일어나는 등 전쟁의 위험은 아직도 우리의 ‘현실’인 것이다. 이러한 점으로 볼 때 각각 국군과 인민군을 아들로 둔 장마의 두 할머니 간의 대립과 화해는 지금 우리의 현실에도 한 의미를 던져줄 것이며, 교육적 가치 역시 충분할 것으로 생각된다. 따라서 본고는 선행연구와 작품 분석을 통해 작가가 장마를 통해 전하고자 했던 메시지가 무엇이었는가를 고찰해보고, 교과서에 그 의미가 얼마나 반영되었는가를 살펴보고자 한다.
Ⅱ. 장마의 선행연구 정리
배경렬은 장마의 갈등 원인이 근대의 산물인 서양 합리주의로부터 비롯된다고 보았다. 합리주의로부터 비롯한 갈등을 합리주의로써 해결하고자 한다면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할 수밖에 없고, 다시금 서구의 노예로 전락하고 만다. 따라서 배경렬은 윤흥길이 장마를 통해 비합리주의적인 샤머니즘이라는 우리 고유의 사상으로써 합리주의에 의한 갈등을 해소하고자 했다고 주장한다.
참고 자료
서울대학교 국어교육연구소, 국어 (상), 두산, 2002
윤흥길, 「장마」, 최원식 편, 조세희 윤흥길, 창비, 2005
김동현, 윤흥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