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실학 교육개혁론에 관한 논문입니다. 실학의 시대적 배경과 학풍의 유형, 그리고 실학 교육사상가에 대한 내용입니다.목차
Ⅰ. 서론 ․․․․․․․․․․․․․․․․․․․․․․․․․․․․․․․․․․․․․․․․․․․․․․․․․․․․․․․․․․․․․․․․․․․․․․․․․․․․․․․․․․․․․․․․․․․․․․․․․․․․․․․․․․․․․․․․․․․․․․․․․․․․․․․․․․․․․․․․․․․․․․․․․․․․․․․․․ 3쪽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2. 연구의 범위 제한
Ⅱ. 실학의 발생 ․․․․․․․․․․․․․․․․․․․․․․․․․․․․․․․․․․․․․․․․․․․․․․․․․․․․․․․․․․․․․․․․․․․․․․․․․․․․․․․․․․․․․․․․․․․․․․․․․․․․․․․․․․․․․․․․․․․․․․․․․․․․․․․․․․․․․ 4쪽
1. 실학의 시대적 배경 및 발생
Ⅲ. 실학의 학풍과 유형 ․․․․․․․․․․․․․․․․․․․․․․․․․․․․․․․․․․․․․․․․․․․․․․․․․․․․․․․․․․․․․․․․․․․․․․․․․․․․․․․․․․․․․․․․․․․․․․․․․․․․․․․․․․․․․․․․․ 5쪽
1. 실학의 학풍
2. 실학의 유형 - 경세치용학파, 이용후생학파, 실사구시학파
Ⅳ. 실학교육개혁론 ․․․․․․․․․․․․․․․․․․․․․․․․․․․․․․․․․․․․․․․․․․․․․․․․․․․․․․․․․․․․․․․․․․․․․․․․․․․․․․․․․․․․․․․․․․․․․․․․․․․․․․․․․․․․․․․․․․․․․․․․․․․․․ 8쪽
1. 당시 교육현상의 문제점
2. 실학 교육개혁론의 특징
Ⅴ. 실학 교육사상가 ․․․․․․․․․․․․․․․․․․․․․․․․․․․․․․․․․․․․․․․․․․․․․․․․․․․․․․․․․․․․․․․․․․․․․․․․․․․․․․․․․․․․․․․․․․․․․․․․․․․․․․․․․․․․․․․․․․․․․․․ 11쪽
1. 반계 유형원
2. 성호 이익
3. 연암 박지원
4. 추사 김정희
Ⅵ. 실학 교육개혁론의 의의 및 한계점 ․․․․․․․․․․․․․․․․․․․․․․․․․․․․․․․․․․․․․․․․․․․․․․․․․․․․․․․․․․․․․․․․․․․․․․ 21쪽
Ⅶ. 참고문헌 ․․․․․․․․․․․․․․․․․․․․․․․․․․․․․․․․․․․․․․․․․․․․․․․․․․․․․․․․․․․․․․․․․․․․․․․․․․․․․․․․․․․․․․․․․․․․․․․․․․․․․․․․․․․․․․․․․․․․․․․․․․․․․․․․․․․․․․․․․․․ 22쪽
본문내용
Ⅰ. 서론1. 연구의 목적과 필요성
본 연구는 조선후기의 새로운 사상적 흐름인 실학사상을 이해하고 그들이 추구하였던 교육사상을 알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조선 후기의 실학사상에 관한 많은 연구들이 존재한다. 실학이 등장하게 된 시대적 배경 및 그들이 추구하였던 세계관과 사회 개혁에 관해서 많다.
그런데 우리가 지금까지 알고 있는 바는 대부분 그들이 사회, 경제, 정치적 측면에서 실학 사상가들의 주장과 개혁에 관한 내용이고, 학교 교육 과정에서 배울 수 있는 것이었다. 그렇지만 그들의 세계관을 이해하고, 그들의 사회개혁을 실현하기 위한 방안으로 어떤 ‘교육’을 추구했는지 자세히 알고 있지 않다. 즉 실학‘ 사상가들이 사회 모순을 비판하고, 개선하고자 하는 노력 중 ’교육‘의 역할과 중요성을 주장하고, 개혁하려 하였던 것을 말이다.
그런 의미에서 본 연구에서는 실학사상에서 나타나 있는 교육개혁에 관한 내용, 방법, 제도에 대하여 고찰하고, 실학사상의 교육사적 의의를 종합적이고, 체계적으로 분석할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Ⅱ에서는 실학이 등장 하게 된 당시의 시대적 배경을 알고, Ⅲ에서는 실학자들의 학풍과 유형을 통해서 그들이 사상적 세계관을 이해하고자 한다. 왜냐하면 교육 방향성은 시대적 상황의 모순점을 비판하고, 세계관, 인간관, 사회관 등에 따라 결정되기 때문이다.
이를 통해서 Ⅲ에서는 구체적으로 실학 교육개혁론의 특징을 연구하고, 나아가 Ⅳ에서는 실학자에 따른 다양한 교육개혁론을 이해한다. 마지막으로 Ⅴ에서는 실학 교육개혁론에 대한 종합적인 이해와 의의 및 한계점에 대해 논의하고자 한다.
<중 략>
“나는 다름 사람이 모두 옳다고 하는 것도 따를 수가 없어! 모두들 그르다고 하는 것도 나는 그것이 과여 그른지 모르겠어! 내가 직접 경험해 볼거야!”라고
이런 경우, 자기 멋대로 하다가 마침내 함정에 빠져 건져줄 수 없는 지경에 이르게 된다. 종말에 가서야 자신이 미혹되었음을 깨닫고 되돌아온다고 해도, 이때는 이미 시간을 다 허비하고 心力을 소모한 터라, 시간의 여유가 없어 걱정하게 된다. 어떻게 하면, 남들이 명백히 일러준 말에 따라 힘써 행하여 성과를 제대로 거둘 수 있겠는가?(『阮堂先生全集』 券1)
정리하자면, 그는 먼저 깨달은 사람 즉, 스승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교육의 과정에서 의구심이 나는 사항은 물음으로 해소하고 자기 확신이 설 때까지 지속적으로 묻고 자기 경험으로 실증할 수 있는 진리를 발견하고 실천할 것을 주장하였다.
참고 자료
金在燮, 반계 유형원의 교육개혁사상 : 공교육체제를 중심으로, 2002.박재문, 「한국교육사」, 학지사, 2003.
우용제, 「조선후기 교육개혁론 연구」, 교육과학사, 2002.
윤완, 「한국 교육사의 이해」, 원미사, 2002.
정영근 외, 「교육학적 사유를 여는 교육의 철학과 역사」, 문음사, 2011.
홍원식 외, 「실학사상과 근대성」, 예문서원, 19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