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본주의 4.0
- 최초 등록일
- 2012.12.08
- 최종 저작일
- 2012.05
- 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소개글
자본주의 4.0과 한국의 자본주의에 대해 기술한 리포트입니다.
목차
Ⅰ. 서론
Ⅱ. 자본주의 4.0이란?
Ⅲ. 자본주의 4.0의 특징
Ⅳ. 한국의 자본주의
Ⅴ.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Ⅰ. 서론
정확히 자본주의가 언제 시작되었는지 말하기엔 애매하지만, 18세기 이후 영국과 프랑스를 중심으로 산업혁명이 일어나고 19세기에 미국과 독일 등으로 파급되면서 시작한 자본주의에 대해 떠오르는 이미지는 개인적이고 차가운 이미지일 것이다. 대표적으로 우리나라의 경우, 광복 이후 미국의 원조를 받으며 자본을 축적하기 시작했고 정부 중심적으로 경제개발을 하는 관료 자본주의, 국가 독점 자본주의 단계에서 시작해서 지금은 민간 자본의 성장과 신자유주의 물결로 시장 자유적인 자본주의로 넘어왔다. 이러한 자본주의로 인해 ‘한강의 기적’이라 불리우는 눈부신 경제적 성장을 이루었고, 후진국에서 선진국 수준의 GDP와 무역 1조 달러 달성 등의 놀라운 결과를 보여주었다. 하지만, 이렇게 자랑스러운 결과의 반대편에는 한국 아동과 청소년 행복지수 OECD 23개국 3년 연속 최하위, OECD 회원국 중 자살율 1위, 출산율 최하위, 빈익빈부익부로 중산층의 몰락과 사회 양극화 심화, 고용없는 성장과 대기업의 독점현상과 중소상권의 몰락 등의 안타까운 현실이 존재한다.
<중 략>
Ⅴ. 결론
우리나라에서 자본주의 4.0시스템의 정착은 빈부격차, 비정규직, 빈곤층의 비율을 줄여나가는 것이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현재 우리나라의 빈곤층의 비율은 21%로, 다른 OECD 국가들보다 두 배가량 높다. 이를 위해 정부의 개입도 중요하지만 기업의 사회공헌, 즉 사회적 책임 또한 중요하게 인식되고 있다.
기업들 특히 대기업은 더 이상 그들의 이익만 추구해서는 안되며, 새로운 자본주의 패러다임에 동승하여 ‘따뜻한 자본주의’의 구현화에 앞장서야 하는 시대가 왔다. 무조건 돈 잘 벌고 덩치가 큰 기업이 아닌 사회적인 책임을 다하고 사회 구성원들에게 존경받는 윤리적인 기업으로써 거듭 나여야만 하고 그런 기업만이 지속가능한 성장을 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참고 자료
신지은, ‘테레사 수녀의 마음에 대기업의 CEO의 머리로‘, <조선일보>, 2007.06.12
신중섭 철학문화연구소,「‘자본주의 4.0’을 어떻게 볼 것인가」,『철학과 현실』, 2011년 겨울호(통권 제91호), 2011.12
최종태,「자본주의 4.0시대의 사회적기업과 경영학」,『사회적기업연구』, 제4권 제2호, 2011.12
대한지방행정공제회,「자본주의 4.0시대의 도시 복지정책 방향」,『도시문제』, 2012
서상모, ‘복지포퓰리즘과 한국자본주의 4.0’, <조선일보>, 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