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 출신으로 LCD실험 (장진교수님 수업)
- A+ 맞은 과목입니다.
- 여러책을 종합적으로 참고하여 큰 노력 만든 레포트입니다.
목차
Ⅰ. 실험 목적
Ⅱ. 실험 재료 및 기구
Ⅲ. 실험 방법
Ⅳ. 실험이론 및 결과
Ⅴ. Reference
본문내용
Transmittance of Optical Films and Back Light Unit (BLU)
& Sheet Resistance of Glass and Metal Electrode
2012. 3. 19. Monday 3조
경희대학교, 정보디스플레이학과
LCD
Experiment
Ⅰ. 실험 목적 :이번에는 실제로 Backlight로부터 편광판을 지나 우리 눈까지 얼마나 광 효율이 좋은지 투과율(transmittance)를 측정한다. 실제로 현재 LCD의 두께는 매우 얇지만 많은 Optical Film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이러한 Film들이 어떻게 작용하지는 알아보며 또 Sheet resistance를 구해 Touch기술 이해 및 ITO분석을 한다. 마지막으로 Alpha-Step으로 TFT-array의 단차 측정을 하여 측정한 결과를 2주차 현미경결과와 비교한다.
Ⅱ. 실험 재료 및 기구 :3.5”(AUO, LG전자), 4.8”(삼성전자) LCD패널, Alpha step측정기, 4-point probe, UV-VIS spectroscopy, 각종 Optical Film & BLU.
Ⅲ. 실험 방법 ?광학적, 전기적, 물리적 구조 특성
LCD의 각종 구성 Film들의 Transmittance측정
① UV-VIS spectroscopy로 sample을 측정하기 전에 공기를 reference로 잡아 준다.
② 3회사의 각종 Optical Film을 차례대로 투과도를 측정한다. Touch Film, Touch Panel, Polarizer, Prism Sheet, DBEF, Diffuser Sheet, LGP, Reflector의 순서.
<중 략>
[그림10] 단차의 차이를 표현한 그림
Gate Line, Data Line와 Response Time와 관계.
우리는 Gate line와 Data line의 폭을 구하였다. 일반적으로 개구율을 증가시켜려면 두 배선의 폭을 줄여야 전력소모가 감소한다. 하지만 배선폭이 얇아지는 만큼 RC-delay가 증가하게 된다. 그 결과 Response Time이 길어져 metal 두께를 조절하거나 재료의 배선을 바꾸려고 노력하고 있다.
UV-VIS spectrometer로 Optical Film 측정의 오류
UV-VIS spectrometer의 용도와 다르게 필름의 개구율을 구하였다. 즉, 정확한 값이 아닌 대략적인 값으로 추측 되며, 이번 실험에서 구한Reflector Sheet, LGP, Prism Sheet, Diffuser Sheet 잘못된 측정방법이다.
참고 자료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MCTNET, “BLU 도광판”
고재현, “LCD 백라이트의 신기술 개발동향”, 한림대학교
안철홍, 김건중, “백라이트유니트 구성요가 TFT-LCD TV용 광확산필름의 전기, 광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 인하대
홍병희 “LCD용 백라이트의 구성원리 및 기술동향” 특집 평판디스플레이 기술개발 현황, 광운대학교 전자물리학
박지희 외4명,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용 집광필름의 광학특성 분석을 위한 시뮬레이션 기법 연구”, 한림대학교
박경주 외6명, “프리즘 시트의 구조와 반사 편광필름의 확산도 최적화에 의한 휘도와시야각 향상”, 한국광학회
Display Bank, 4선저항막식 터치기술 원리
김종석 외3명, 디스플레이 소재기술동향2, KISTI
김상수 외2명, 디스플레이공학1 (LCD), 청범출판사
이재원, “Backlight 기술”, LG display, 경희대학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