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행평가와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자료 이용
의대생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수행평가와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자료 이용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수행평가와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자료 이용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수행평가와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자료 이용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수행평가와 한국어교육 - 의사소통 능력 평가를 위한 실제자료 이용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1. 들어가며2. 수행평가의 이론적 배경
3. 수행평가의 개념과 방법들
4. 수행평가의 필요성
5. 한국어능력시험과 수행평가
본문내용
1. 들어가며이번 학기말 보고서로서 “자신의 전공과목과 수행평가”라는 과제가 주어졌다. 단 “수행평가란 어떤 것인지에 대한 설명도 포함시킬 것”이라는 조건이 있다.
나의 전공인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은 그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외국어과목이다. 따라서 교수?학습 상황에서도 수행능력을 키우기 위한 활동들이 상당히 많다고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자기소개”, “전화 걸기”, “일기 쓰기” 등이다. 한국어로 그러한 언어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교수?학습활동이 이루어진다. 따라서 평가에서도 이러한 수행 능력의 유무, 정도를 측정하여야 한다. 그러나 이상적인 평가와는 상당히 거리가 있는 것이 현실이다.
그래서 본고에서는 먼저 수행평가란 무엇인가에 대해서 살핀 후, 한국어교재나 한국어능력시험을 예로 수행평가를 실행하기 위해서 한국어교육에서 어떤 부분이 부족한지에 대해 알아본다. 그리고 개선을 위한 방향에 대해서 모색하여 제시하고자 한다.
<중 략>
A: 요즘 대장균 때문에 난리야. 어느 유명한 음식점에서 대장균이 많이 발견되었대. 뭘 마음놓고 먹지도 못하는 세상이야.
B: 그렇지만 대장균은 사람에게 병을 일으키는 병균은 아니래. 대장균은 음식물의 소화에 관여하기도 하고 유익한 일을 하는 정상적인 균이래.
A: 그런데 왜 대장균이 발견되었다고 야단들일까? 그런 대장균이라면 많이 나오면 나올수록 좋은 거지.
B: 전염병은 대체로 배설물에 의해 옮겨진대. 배설물에는 대장균을 비롯한 많은 병균들이 있는데 가장 흔하고 쉽게 식별할 수 있는 대장균으로 배설물에 의해 오염정도를 측정하여 다른 병균들이 존재할 가능성을 예측하는 거지.
A: 그러니까 대장균은 그 자체로서는 별로 해가 없는 균이지만 다른 좋지 않은 병균에 의한 오염 가능성을 알려줄 수 있다 이거로구나.
B: 대장균이 많이 발견되었다는 것은 배설물이 오염되었다는 것을 뜻하는 것이니까 우리나라가 제대로 되려면 물이나 음식에서 대장균이 나와서는 안되지.
(제4회 한국어능력시험 6급)
참고 자료
강명순 외, 1999, “한국어 듣기 능력 평가 방안 -숙달도를 중심으로-” 한국어교육 제10권2호김미옥 1999 “제2언어와 입력, 발화 그리고 상호작용”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김정화황인교 2002 “초급 단계에서의 듣기 자료의 실제성” 이중언어학 제20호
구현정 2000, 개정 대화의기법, 경진문화사
노대규 1996 ,한국어의 입말과 글말, 국학자료원
류성기 2001 “말하기?듣기 교수학습 모형” 말하기듣기수업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이정
박도순홍후조 1999 교육과정과 교육평가, 문음사
박용익, 1998, 대화분석론, 한국문화사
박희영 1999 “구어와 문어를 상호 보완하는 한국어” 문법 수업 모형“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서현석 2001 “말하기듣기 수업의 비계설정 양상” 말하기듣기수업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이정
심재기문금현 2000 “외국어로서의 한국어 교재 연구 -구어 텍스트의 활용을 중심으로-” 이중언어학 제17호
안경화 2002 “구어체 텍스트의 응결 장치 연구” 한국어교육 제12권 2호
이경화 2001 대화의 기능과 구조 분석을 통한 말하기 지도 방안“ 말하기듣기수업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이정
이원표 2001 담화분석, 한국문화사
이정자 2002 “그룹활동을 통한 의사소통능력 신장 연구” 한국어교육 제12권 2호
이정희 1999 “영화를 통한 한국어 수업 방안 연구”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이주섭 2001 상황맥락을 축으로 한 말하기?듣기 교육 통합 방안 말하기듣기수업방법, 한국초등국어교육학회, 박이정
이해영 1999 “한국어 듣기 교육의 원리와 수업 구성”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이효정 2001 “한국어 학습자 담화에 나타난 연결어미 연구” 한국어교육 제12권 1호
전은주 1999 말하기듣기 교육론 박이정
진제희 2000 “상호작용 상화에서 나타난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양상” 이중언어학 제17호
진제희 2000 “한국어 학습자들의 의사소통 전략 유형 분류 및 분석” 한국어교육 제11권 1호
진제희 2001 “한국어 학습자들의 발화 속에 나타난 대화 전략으로서의 입말의 특성” 한국어교육 제12권 1호
차경환?신동일 2001 영어청취론, 한국문화사
황인교 1999 “외국어로서의 한국어교육 2 -구어 교구 이론의 정립을 위하여-” 한국어교육 제10권 2호
岩崎勝一?大野剛 1999 文」再考」『言語學と日本語敎育』くろしお出版
門田修平他編 2001 『英語リ?ディングの認知メカニズム』 くろしお出版
小池生夫編 1993 『英語のヒアリングとその指導』 大修館書店
杉藤美代子監修 1997 『アクセント?イントネ?ション?ポ?ズ』 三省堂
鈴木祐治他著 1997 『コミュニケ?ションとしての英語敎育論』 アルク
竹蓋幸生 1989 『ヒアリングの指導システム』 硏究社出版
永山友子 1990 日本語敎科書の會話例と日本語母語話者の實際の會話との比較 『日本語敎育』90號
H. Douglas Brown, 1994,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Third Edition, Prentice-Hall, Inc., 신성철 역, 1999, (외국어 교수?학습의 원리(제 3판), 한신문화사
H. Douglas Brown, 2000, Principles of Language Learning and Teaching. Fourth Edition, Longman, 이홍수/박매란/박주경/이병민/이소영/최연희 역, 2001, 외국어 학습교수의 원리(제 4판), Pearson Education Korea
H.H.Stern, 1983, Fundamental Concepts of Language Teaching,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심영택/위호정/김봉순 역, 1995, 언어교수의 기본개념,도서출판 하우
Krashen, 1982, Principles and Practice in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pergamon, 김윤경 역, 2000, 외국어 교육 이론과 실제, 한국문화사
Rod Ells, 1997, Second Lang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박경자/장미경/오은진 역, 2001, 제 2언어 습득, 박이정
R. Ellis, 1985, Understanding Second Language Acquisi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김윤경 역, 1988, 외국어습득론, 한국문화사
Vivian Cook, 1993 Lingustics and Second Language Acquisition, New York: St.Martin`s Press, 최숙희 역, 1998, 언어학과 외국어 습득, 동인
Susan M. Gass/Larry Selinker, 1994, Second Language Acquisition, Lawrence Erlbaum Associates,Inc., 박의재/이정원 역, 1999, 제2언어 습득론, 한신문화사
Vivian Cook, 1996, Second Language Learning and Language Teaching Second Edition, Edward Arnold Ltd, 김지영 역, 2000, 제2언어 학습?교수론, 형설출판사
William T. Littlewood, 1984, Foreign and Second Language Learning, Cambridge: Cambridge Unversity Press, 김남국 역,1994, 외국어학습, 강원대학교 출판부
Mary Underwood, 1993, Teaching Listening, Longman, 입말교육연구모임 옮김, 김수업 살핌, 듣기교육, 나라말
Penny Ur, 1984, Teaching Listening Comprehension, Cambridge:Camblidge University Press, 차경환 역, 1997, 영어청취 지도론
이화여자대학교 언어교육원 1998, 말이 트이는 한국어,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제4회 한국어능력시험문제 2001,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한국어교육평가론 3페이지
- [국어교육] 외국인을 위한 한국어 교육-평가론 14페이지
- [한국어능력시험]어휘,문법평가 13페이지
- 한국어 능력시험 문제 분석 - 3급 읽기 4페이지
- <한국어 평가론>제4장 한국어 듣기평가 요약 정리 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