甘草中黃皮赤,確是心, 脾二經之藥,然五臟六腑皆受氣於脾,心爲一身之宰,甘草味至甘,性至平,故能由心脾以及於他臟他腑,無處不到,無邪不祛。
감초는 중간은 황색이며 껍질은 적색이니 확실히 심경, 비경 두 경락의 약이며 5장6부가 모두 비에서 기를 받고 심은 한 몸의 주재가 되므로 감초의 지극히 단 맛과 약성이 지극히 평기이므로 심과 비에 유래하여 다른 5장6부에 이르니 도달하지 않는 곳이 없고 제거되지 않는 사기가 없다.
其功能全在於甘,甘則補,甘則緩。
감초의 공능은 온전히 감미에 있으니 감미는 보할 수 있고 감미는 완화할 수 있다.
凡仲聖方補虛緩急,必以炙用,瀉火則生用,雖瀉亦兼有緩意。
장중경 성인 처방에 허증을 보하며 급함을 완만하게 한다고 함에 반드시 감초를 구워 사용하며 화를 끔에는 생으로 사용하니 비록 사하나 또한 완화의 뜻을 겸하고 있다.
如治咽痛肺?,火在上焦者爲多。
만약 인두통과 폐위를 치료함에 화가 상초에 있음에 많이 감초를 사용한다.
以其爲心藥也,甘草瀉心湯,是瀉心?非瀉心火,瀉?有黃連, 芩, 夏,甘草特以補胃,故炙用。
감초가 심을 치료하는 약이 됨은 감초사심탕이니 심비를 사함은 심화를 사함이 아니고 속답답함을 사함은 황련, 황금, 반하이며 감초는 특별히 위를 보하므로 구워 사용한다.
炙用而以甘草瀉心名湯者,甘草之奏績可思也。
<중 략>
또 황제내경에서 말하길 “대기가 한번 구르면 풍사가 흩어진다고 했다.”
夫補虛散邪,法亦多端,而黃?, 防風收效若是之捷者,何也?
허증을 보하고 사기를 흩어지게 하는 방법도 또한 단서가 많은데 황기, 방풍이 효과를 거둠이 이처럼 민첩하면 어째서인가?
病者脈?口?,自屬經絡機竅爲風邪所中,陽虛而陰壅,大可想見。
병자가 침맥이 입이 다물어져서 스스로 경락과 기틀의 구멍이 풍사에 적중됨에 속하며 양허로 음이 막힘을 크게 생각해볼수 있다.
黃? 非風藥,而補陽利陰,通其氣道,厥有專長。
황기는 풍을 치료하는 약이 아니며 양을 보하고 음을 이롭게 하며 기의 도로를 소통하게 하니 그것이 오로지 장점이 있다.
防風得之,乃克由陽明達表,大驅其風。
황기가 방풍을 얻으면 양명에서부터 표로 도달하여 크게 풍사를 몰아낼 수 있다.
此其得訣,在認定29)脈?可任黃?,否則遇中風脈浮汗出而用之,不愈助其虐乎。
비결을 얻어서 침맥이면 황기를 맡길수 있음을 인식하며 아니면 중풍의 부맥과 땀이 나면 사용하니 그 포학함을 더욱 도움이 아니겠는가?
宋人許叔微醫學至深,而其用黃?,則似不如允宗之當。
송나라 사람 허숙미의 의학이 지극히 깊어서 황기를 사용하지 않으니 허윤종의 지당함만 못한듯하다.
지식판매자의 자료는 는 매번 기대 이상의 정보를 제공합니다. 특히, 다양한 주제를 깊이 있게 다루고 있어 학습할 때 지루함을 느끼지 않습니다. 학업에 적용할 수 있는 유용한 팁들이 많아, 학습한 내용을 실제로 활용할 수 있어 매우 만족스럽습니다. 앞으로도 계속해서 이 지식판매자의 자료를 이용할 생각입니다!
자주묻는질문의 답변을 확인해 주세요
1. 해피캠퍼스 오른쪽 상단 [내계정 > 다운가능자료]를 누르면 [구매자료] 페이지로 이동되어 자료를 다운로드 하실 수 있습니다. 자료의 열람 및 다운로드 가능 기간은 구매일로부터 7일입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