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산 허균
- 최초 등록일
- 2012.12.01
- 최종 저작일
- 2011.10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교산 허균
목차
1. 시대적 배경
1) 유교의 교조주의
2) 당론과 당쟁
3) 사회의 혼란과 민생고
4) 서얼 금고와 천민
2. 생애
1) 가문
2) 성장수학
3) 관직생활
3. 사상
1) 당파와 정치이론
2) 종교사상
3) 여성문제
4. 문학이론
1) 법고창신(法古刱新)의 시론
2) 변상위아(變常爲雅)의 문평
3) 병공준도(秉公遵度)의 선학(選學)
5. 허균의 소설
1) <홍길동전〉의 출현과 대사회적 관점
2) 다섯 편의 ‘전’에 대한 연구와 그 방향
3) 소설사적 의의에 대한 논의
6. 참고문헌
본문내용
1. 시대적 배경
1) 유교의 교조주의
유교가 국시인 조선조의 전기 사회는 몇 가지 모순을 안고 있었다. 그 첫째는 귄위주의 또는 교조주의이다. 공자의 이론과 주자학에서 한 발자국도 벗어나지 못하게 단속하여 학문의 경향을 폐쇄적으로 이끌어 갔다. 그리하여 불교와 도교는 말할 것도 없고 고유한 사상이 학문으로 발전하여 체계를 이루는 것을 막고 성리학만을 앞세웠다. 다른 학문을 엿보고 다른 신앙을 쫓으면 이단이나 사문난적1)으로 몰아 벼슬을 빼앗거나 죽이기까지도 했다. 그 때문에 불교는 산속으로 쫓겨 가고, 도교는 신선 사상으로만 흐르고, 고유한 사상은 민간 신앙으로 흘러갔다.
그 둘째는 차별적인 인간관계로 신분 계층이 엄격하게 구분 지어지게 됐던 것이다. 평민은 능력이 있거나 없거나 결코 양반이 될 수 없었고, 여자는 남자에게 복종하는 것만이 미덕이었다. 따라서 평민은 늘 착취만 당했고, 여자는 남편이 죽었을 때에 절대로 다시 혼인해서는 안 되고 열녀가 되어야 했다. 또 서얼 금고라는 가혹한 제도를 낳기도 했다.
<중 략>
그러나 현재로서는 기존의 학설과 성과에 의하여 그 가치를 가늠할 수밖에 없다. 본고에서 전개한 논지도 이에 의거하였으며, 앞으로의 연구 상과에 의해서 이 논지도 달라질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허균이 남긴 《홍길동전》과 다섯 편의 ‘전’을 중심으로 그동안의 많은 연구성과가 축적되는 과정에서 노정된 문제점이 무엇이었나를 세 가지 항목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먼저 <홍길동전>과 작자 허균과의 상관관계를 논의하는 방식에서 작자의 문집 속에서 나오는 논설들의 내용에 대한 지나친 확대해석이 작품해석의 오류를 낳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이것은 《홍길동전》의 내용이 당시의 사회적 현상에 대한 비판을 담고 있기 때문에 더욱 철저하게 해석되고 검증되어야 할 것이다. 작가와 작품을 등가적 위치에 놓는 자세에 대한 반성의 기회가 되었으면 한다. 물론 일치하는 부분이 있지만 작자의 창조물로서의 작품을 해석하는 자세에 문제가 있음은 그 동안의 연구성과에서 나타난 결과이다.
참고 자료
강동엽, 『조선 지식인의 문학과 현실인식 -허균·박지원·김시습 -』, 박이정, 2008
이이화, 『허균의 생각 그 개혁과 저항의 이론』, 뿌리깊은나무, 1983
허경진, 『儒敎叛徒 許筠 - 허균의 사상과 문학 -』,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