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제 24회 서울88올림픽
2. 서울88올림픽에 대한 국민 의식
3. 서울88올림픽의 긍정적 영향
4. 서울88올림픽의 부정적 영향
본문내용
1. 제 24회 서울88올림픽
1988년 9월 17일부터 10월 2일까지 서울에서 열린 올림픽대회. 제24회 서울올림픽대회는 ‘화합·전진’의 기치 아래, 전 세계 160개국이 참가하여 올림픽사상 최대 규모로 진행되었다.
1981년 9월, 올림픽의 서울 개최가 결정된 후부터 온 국민의 기대와 전 세계의 관심 속에 모든 준비가 진행되어, 경기가 개최된 16일간뿐만 아니라, 이전과 이후의 모든 일정이 성공리에 끝을 맺었다.
이 대회에서 우리나라는 종합 4위를 차지하였는데, 스포츠뿐만 아니라 대한민국의 고유문화와 우수한 경기 운영 역량을 전 세계에 널리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2. 서울88올림픽에 대한 국민 의식
국민들은 88올림픽의 전체적으로 긍정적으로 바로 보고 있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임시적이건 연속적이건 올림픽이 국제 평화와 친선에 도움을 준다는 대답이 90%이상에 이르고, 또한 외국인에게 한국에 대한 관심을 높여주었다는 생각한다. 긍지와 자부심을 느끼며 대한민국 국민으로서의 단합이 더 잘 이루어 질것이라고 답하였다. 이것을 통해 스포츠에 직접 참여의식이 높아질 것이다. 또한 경제적 흑자에 대해 밝은 전망을 하였다. 특히, 우리나라 관광과 우리 상품의 선전 효과로 흑자 수출을 기대한다고 하였다.
<중 략>
서울88올림픽은 한국의 전경을 바꾸어 놓았다. 특히, 서울의 도시정비에 따라 새로운 서울의 모습을 만날 수 있게 되었다. 중산층이 확대됨에 따라 사회적 안정을 가지고 왔고 여성의 사회적 지위고양 및 청소년 문제도 해결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눈에 보이는 역사의 진실 속에서 숨겨져 있는 거짓을 찾아 줄 아는 안목을 가져야 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서울 88올림픽은 순수하게 국민을 위한 국가적 행사가 아닌 전두환의 정치적 안정을 위해 치뤄 졌다는 사실에 깜짝 놀랐다. ‘우리들의 올림픽’, ‘88타워’, ‘올림픽 서울’, ‘동경올림픽을 뛰어 넘자’등의 그럴듯한 제목으로 올림픽 붐을 일으켜 국민을 정치에서 스포츠로 관심을 옮기려고 한 정치적 목적이었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경제적 기대 효과는 어느 정도 있었으나 차후 과소비 성향이 심해졌고 수출보다 수입이 더 많아 지는 현상이 일어남으로써 88올림픽이 한국의 경제에 긍정적 영향만 주지는 못했다. 그리고 생계가 급급한 시민들은 88올림픽으로 인해 계층 간의 더 큰 위화감을 가지게 되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