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 나라에 대해 알고 싶다면, 그 나라의 전통과 역사, 즉, 그들의 문화를 살펴보고 분석해보는 것이 가장 좋은 방법이다. 문화를 통해서 그 나라 사람들의 생각과 사고방식, 그리고 그들의 특징을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 나라 사람들의 문화를 이해하는 방법 중의 하나로 풍속을 살펴보는 방법이 있다. 풍속은 옛날부터 그 사회에 전해 오는 생활 전반에 걸친 습관 따위를 이르는 말로써, 그 지역 사람들의 행동을 이해하는데 기본이 된다. 이 레포트에서 나는 중국의 결혼풍습을 통해 그들이 삶을 대하는 태도, 특징 등을 분석해 볼 것이고, 그리고 과거와 비교해서 현재 그들의 사고방식과 생각들이 어떻게 바뀌었는지를 조사해 볼 것이다.
먼저, 중국의 전통적 혼인제도의 가장 큰 특징이 무엇인지 살펴보자. 중국의 전통적 혼인 제도는 “부모의 명령, 중매인의 중매”라는 말로 대표되는데, 부모가 자녀의 결혼을 결정한다는 것이 가장 중요한 특징이다. 『시경』의 「제풍齊風」에는 “아내를 들이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 반드시 부모에게 고하고 허락을 얻어야지”라고 하는 시구가 있다. 그것으로 볼 때 부모가 혼인을 결정하는 관습은 서주시대(기원전 1020년 무렵~770년)부터 이미 존재 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나 그 당시에는 반드시 따라야 하는 엄격한 제약이 있었던 것은 아닌 것 같고, 결혼하지 않은 남녀 사이에 어느 정도는 자유로운 교제가 가능했었다고 생각된다. 『주례周禮』권4 「지관사도地官司徒」에는 “매년 2월에는 남녀를 서로 대면시킨다. 그때 서로 눈이 맞아 남몰래 숨는 것을 금지하지 않는다.” 라는 구절이 나온다. 이러한 기록으로 볼 때 남녀 사이의 교제는 한시적인 것이긴 하지만 어느 정도 제도적으로 보장되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중 략>
총각 측에서 친척을 통해 처녀를 아내로 맞이하고 싶다고 하면 딸을 가진 친척은 절대 다른 곳에 시집을 보낼 수가 없다. 만약 어머니 형제 중에서 마땅한 총각이 없을 경우에는 다른 집안과 혼사가 가능하다. 중국 대륙 서남 지역의 러빠족은 이 혼세 교차제(婚歲 交差制)의 혼인을 유달리 장려하고 있는 민족이다. 이 민족은 인척간의 통혼이야말로 ‘금화하고도 바꿀 수 없는 혼인’이라고 여기고 있다. 가령 남편이 사망하면 그 부인은 남편의 형제와 재혼해야 한다. 반대로 부인이 먼저 사망하면 남편은 결혼하지 않은 부인의 자매와 재혼하도록 되어있다.
참고자료
· 왕순홍 편저 정차근․김덕환 역주, 중국의 어제와 오늘, 평민사, 2009
· 이벤허 지음, 중국인의 생활과 문화, 김영사, 1994
· 장징 지음 이용주 옮김, 사랑의 중국 문명사, 이학사, 2004
· 국제결혼사이트 정보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