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원 김홍도의 생애와 김홍도의 풍속화 작품 분석
- 최초 등록일
- 2012.11.20
- 최종 저작일
- 2012.11
- 14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풍속화의 개요, 단원 김홍도의 생애, 단원 김홍도 풍속화 작품 분석 조사하였습니다.
목차
1. 풍속화의 개요
1) 풍속화의 개념
2) 풍속화의 특징
2. 단원 김홍도의 생애
1) 전기
2) 후기
3. 단원 김홍도 풍속화의 특징
4. 단원 김홍도 풍속화 작품 분석
1) 씨름
2) 무동(舞童)
3) 고누놀이
4) 서당
5) 활쏘기
6) 행상
7) 길쌈
8) 주막
9) 우물가
10) 빨래터
11) 노중상봉
12) 새참
13) 자리짜기
14) 논갈이
15) 대장간
16) 고기잡이
17) 장터길
18) 신행
【 참고자료 】
본문내용
1. 풍속화의 개요
1) 풍속화의 개념
`풍속화`하면 일반적으로 그 시대를 살아가는 평범한 서민들의 일상생활의 모습 등을 주제한 한 그림이라 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속에는 신상, 종교, 정치, 생활, 사상 등 삶의 온갖 모습이 펼쳐져 있다. 필요한 식량을 안전하게 많이 확보하기를 절실하게 기원하는 뜻에서 바위 위에 새긴 그림, 생전에 누렸던 부귀영화가 내세에까지 지속되기를 기원하는 그림, 힘들고 고달픈 일상에서 벗어나고픈 소망을 담을 그림, 구중 궁궐에서 백성들의 생활과 고통을 파악하기 위해 그려 놓은 그림, 백성들에게 모범이 되는 행실을 묘사한 그림, 서민들의 감성과 욕구를 풀어놓은 그림, 이 모든 것들을 풍속화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풍속화는 인간과 함께 호흡하는 장르라고 볼 수 있다(정병모, 2001).
<중 략>
(대장간, 종이에 담채, 27×22.7cm,
국림중앙박물관 소장)
생동감이 느껴지는 작품으로 <대장간>이 있다. 대장간에서 사람들이 일하는 모습을 담은 이 그림은 조선시대 수공업 현장의 모습을 상세히 나타내고 있다. 한 사람이 새빨갛게 달구어진 철을 집게로 잡고 있고 두 사람이 그 달구어진 철을 망치로 두드리고 있다. 이들 뒤에서는 사내아이가 열심히 풀무질을 하고 있고, 한 쪽에서는 한 사내가 낫을 열심히 갈고 있다. 힘들고 고된 노동을 하고 있으나 이들의 표정에 슬픔은 느껴지지 않는다. 김홍도는 작품을 통해 고된 생활을 하면서도 희망을 잃지 않고 성실하게 일하는 우리 민족의 낙천적인 성격을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풀무소리, 망치소리, 낫을 가는 소리 등 청각적인 효과를 더하여서 수공업장에 활발하고 명랑한 분위기를 만들어 주고 있다.
이러한 실제 눈앞에서 보여 지는 듯 생생한 표현에 의해서 그림을 감상하는 사람은 그의 작품에 속에 인물들의 심리상태나 생활정서, 조선시대 사회의 다양한 장소들이 지닌 분위기 등을 간접적으로 체험할 수 있다(이은정, 2011).
참고 자료
정병모(2009)「한국의 풍속화」한길아트
정병모(2001)「한국의 풍속화」한길아트
김영순(2008)「조선후기 풍속화 연구」藝術論集, Vol.8 No.-
노연아,박선애(2006)「단원 풍속화에 대한 연구」文化傳統論集, Vol.13 No.-
김선륜(2000)「풍속화(風俗畵)의 대가 김홍도(金弘道)」선문사학, Vol.1 No.-
황소정(2012)「줌치 기법을 이용한 단원 김홍도 풍속화의 현대적 재해석」상명대학교 디자인대학원 논문
이은정(2011)「조선후기 풍속화의 여성 표현 연구」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전원민(2008)「사회적 변화와 풍속화의 출현」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덕신(2008)「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군산대학교 대학원 논문
박정국(2007)「檀園 金弘道의 現實인식에 대한 考察」홍익대학교 대학원 논문
서민지(2004)「단원 김홍도에 관한 연구」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최정혜(2003)「김홍도와 신윤복의 풍속화 양식의 비교분석」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보경(2003)「檀園 金弘道의 風俗化硏究」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전은림(2002)「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전진희(1998)「단원 김홍도의 풍속화 연구」단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용기(1995)「李麟祥, 金弘道 繪畵에 나타난 傳統과 韓國畵의 現代性 摸索」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임진수(1990)「단원의 인물표현 연구」동국대학교 대학원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