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epler는 역사적으로 서양의 대부분의 과학자들, 심지어, Copernicus와 Galileo도 사용하였던 원 궤도를 버리고, 처음으로 타원궤도로 천체의 운동을 기술하였다. Copernicus와 Galileo들이 제안하였던 태양중심설을 완성하였던 진정한 혁명가였다. 따라서 그러한 타원궤도의 발견과정을 직접 체험하는 것이 이 실험의 목표이다.
이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은 구체적인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Kepler가 화성의 공전 궤도를 구한 방법을 이해하는가?
둘째, 화성의 공전 궤도가 타원임을 알 수 있는가?
셋째, 확장하여 화성의 공전궤도를 그리고 장반경과 이심률은 무엇인가?
<중 략>
실험 해석
화성의 공전궤도를 그려본 후 행성이 타원으로 공전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고
이심률 값을 구해본 결과 그 값이 0 < 이심률 < 1 것을 봤을때 수학적으로도
공전궤도가 타원형이란 것을 알수 있다.
이심률의 값을 그냥 숫자로 보면 별 차이없는 것 같지만 퍼센트로 따지고보니
오차가 크게 나왔다.
결론
1) 케플러는 화성의 공전주기를 보고 그 값을 이용해 점을 찍은 뒤 연결해서 타원 형임을 알 수 있었을 것이다.
2) 이심률에 근거해보면 행성의 공전궤도가 타원형임을 수학적으로 증명할수 있다.
3) 공전주기 자료를 이용해서 그려본 값으로 장반경과 이심률을 구할 수 있다.
5. 느낀점
교수님께서 실험을 한다기에 지구과학파트는 어떤 실험을 하는지 궁금했었다.
이번 실험은 그리 복잡한 실험은 아니었다. 하지만 다른 과학 (화학 , 생물) 같은 실험과는 약간의 차이가 있어 생소했던 것은 사실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