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개요
2. 언론의 기본적인 기능
3.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역할
4. 한국 언론의 문제점
5. 언론과 국가의 바람직한 관계
6. 한국 언론의 방향성
본문내용
2. 언론의 기본적인 기능
정보 전달
사회 비판
여론 형성
3. 민주주의 사회에서 언론의 역할
*중립적인 태도를 유지하는가?
- 특정 이익집단이나 국가의 이익을 대변하지 않아야 한다. 언론은 사회 비판 기능을 맡고 있는 대표적인 기관인 만큼 국가와 자본으로부터 자유로워야 한다. 특정 집단의 언론 장악은 사회 비판 기능 상실로 이어진다.
*시민의 이익을 대변하는가?
- 언론은 시민 일반의 이익을 대변하여야 한다. 시민 이익 도모는 곧 공익을 위한 움직임이며, 사회 정의의 실현을 의미한다. 언론은 시민이 민주적 의사결정을 내리는 데 있어서 무엇이 우선시 되어야 할 지 비판적으로 판단하여야 한다.
*객관적인 정보에 근거를 두고 있는가?
- 제아무리 바람직한 가치를 추구한들 정확한 정보에 근거를 두고 있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 언론은 객관적이고 정확한 정보를 바탕으로 한 가치 판단을 내려야 한다.
대한민국 언론 현실
MBC 노조 파업을 통해 바라본 대한민국 언론의 단면
*방송문화진흥회
방송문화진흥회법에 의해 설립된 특별 법인으로 MBC의 주식 70%를 소유하고 있다. 정권을 비롯한 외부 세력으로부터 문화 방송을 지키고 방송의 발전, 향상을 도모하기 위해 설립하였다. 방송문화진흥회는 MBC에 주주권을 행사할 수 있으며 경영진을 선임할 수 있다.
*파업까지
-방송문화진흥회가 MBC의 제작본부장과 보도본부장 자리에 친 정권 인사를 앉힘.
-방송문화진흥회의 일방적인 인사 선임으로 인한 마찰 끝에 엄기영 사장 사퇴.
-노조의 김재철 사장 출근 저지.
-인사를 재고해 보겠다는 김재철 사장의 약속.
-김재철 사장의 약속 불이행. 친 정권 인사 대거 포진.
-MBC 총파업.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