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페베네의 마케팅 전략 및 매출향상을 위한 제언(카페베네 거시환경 산업환경 5포스모델 시장분석, swot stp 4p, 성장전략 성공요인)
우리나라 커피전문점 중 가장많은 매장수를 보유한 곳은 카페베네입니다. 카페베네는 처음 출발부터 매장확장에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스타벅스 등 타업체들이 맛등 프리미엄에 중점을 두었을 때 카페베네는 이들과 똑같은 전략으로는 승산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2년 7월 800호점을 돌파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로도 눈을 돌려 미국, 중국 등 세계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직접광고 및 간접광고를 통해 우리가 카페베네에 익숙해져 있지만 이는 카페베네의 큰 노력과 전략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카페베네의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외부환경분석으로 거시적환경, 산업환경 분석, 그리고 시장의 상황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카페베네의 내부환경 분석으로 카페베네의 성장 전략 및 경영자원 등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카페베네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카페베네는 포지셔닝을 하였고, 그에따라 4p전략을 가졌갔는지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카페베네가 어떻게 하면 더 매출을 올릴 수 있고,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참고사셔서 좋은 성과내세요.
우리나라 커피전문점 중 가장많은 매장수를 보유한 곳은 카페베네입니다. 카페베네는 처음 출발부터 매장확장에 많은 노력을 하였습니다. 기존에 존재하던 스타벅스 등 타업체들이 맛등 프리미엄에 중점을 두었을 때 카페베네는 이들과 똑같은 전략으로는 승산이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노력으로 2012년 7월 800호점을 돌파하게 되었습니다. 또한 해외로도 눈을 돌려 미국, 중국 등 세계에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지금은 직접광고 및 간접광고를 통해 우리가 카페베네에 익숙해져 있지만 이는 카페베네의 큰 노력과 전략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이에 카페베네의 전략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우선 외부환경분석으로 거시적환경, 산업환경 분석, 그리고 시장의 상황이 어떠한지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그리고 카페베네의 내부환경 분석으로 카페베네의 성장 전략 및 경영자원 등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카페베네의 강점, 약점, 기회, 위협이 무엇인지 알아보고, 어떻게 카페베네는 포지셔닝을 하였고, 그에따라 4p전략을 가졌갔는지에 대해 알아 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경쟁이 치열해 지고 있는 상황에서 카페베네가 어떻게 하면 더 매출을 올릴 수 있고, 고객의 충성도를 높일 수 있을지에 대해 생각해 봤습니다.
참고사셔서 좋은 성과내세요.
목차
Ⅰ. 카페베네
1. 카페베네 소개
2. 연혁
3. 카페베네의 비전, 사명, 가치
Ⅱ. 외부환경 분석
1. 거시환경 분석
1. 경제적 환경
2. 사회 문화적 환경
3. 정치적 환경
4. 기술적 환경
2. 산업환경 분석(5 FORCE 모델)
1. 기존 기업 간의 경쟁
2. 신규진입자의 위협
3. 공급자의 교섭력
4. 구매자의 교섭력
5. 대체재의 위협
3. 시장 분석
1. 커피의 수입량 증가
2. 늘어나는 커피 전문점의 수
3. 커피전문점의 매출 증가 추세
4. 커피 브랜드 전문점 선호도 및 특징
5. 고객만족도 비교
Ⅲ. 내부환경 분석
1. 카페베네의 단계별 성장 전략
2. 가맹점 사업의 활성화
3. 경영자원
4. 맞춤형 마케팅
Ⅳ. SWOT 분석
1. Strength
2. Weakness
3. Opportunity
4. Threat
Ⅴ. STP 분석
1. Segmentation
2. Targeting
3. Positioning
Ⅵ. 4P 분석
1. Product
2. Price
3. Place
4. Promotion
Ⅶ. 카페베네 매출향상을 위한 제언
1. 맛에 대한 인식 개선
2. 가맹점 상권보호와 통합된 교육시스템
3. 카카오톡과의 제휴
4. 진동호출기의 업그레이드
5. 매장별 테이블을 확인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 개발
* 참고자료
본문내용
3. 정치적 환경
커피 생산국가와의 FTA가 계속 되고 있다.
한·페루 FTA는 2009년 3월 협상이 개시돼 1년6개월 만인 2010년 8월 협상이 타결됐다.
페루커피는 기존에 브랜드용으로 많이 쓰고 있는 저렴한 로부스타 커피나 브라질 커피로 낼 수 없는 월등하게 우수한 신맛을 가지고 있고 콜롬비아 커피처럼 전후좌우를 휘젓지 않으면서도 처음부터 끝까지 안정적인 신맛을 보장한다. 북미의 커피체인 전문가들이 페루커피를 주목하는 이유이다. 페루커피는 어느 커피와 브랜딩을 해도, 누가 뽑아도 일정수준 이상의 맛을 유지할 수 있게 해주기 때문에 한-페 FTA 체결로 맛 좋은 페루커피를 저렴한 가격에 즐길 수 있을 것이란 기대할 수 있게 한다.
3. 커피전문점의 매출 증가 추세
커피전문점의 시장규모가 점점 커지면서 2011년에는 2조4000억원의 시장규모를 자랑했고, 2012년에는 3조원이 될 것이라 추정되고 있다. 커피전문점의 시장규모가 커짐에 따라서 주요 커피전문점의 매출도 증가 추세에 있다. 스타벅스와 카페베네, 커피빈, 탐앤탐스, 할리스커피, 커핀그루나루 등 6개 커피 전문점의 2011년 매출액은 7433억원으로 2010년(5807억원)보다 28%나 증가했다. 이는 2011년 국내총생산(GDP) 성장률(3.6%) 대비 약 8배에 달한다.
<중 략>
또한 소리도 지원되기 때문에 하얀 버튼으로 불륨도 조절 가능하며, 화질도 꽤 선명하다.
현재 이러한 진동기를 사용하는 커피 전문점은 ‘커피빈’, ‘투썸플레이스’, ‘엔제리너스’가 있다. 카페베네에서 이러한 진동호출기를 도입하게 된다면 카페베네에서 활발히 매장을 늘리고 있는 ‘블랙스미스’와 연계하여 상호간 광고 효과를 누릴 수 있을 것이다.
<투썸플레이스의 진동호출기>
또한, 지난 2009년에 MBC 예능 프로그램 ‘무한도전’에 소개된 뉴욕의 커피 전문점 ‘띵크커피’의 사장 제이슨 슈어는 한국 소비자들만의 특징이 바로 이 진동호출기에 있다고 언급한 바 있다. 주문을 하고 진동호출기를 받고 바로 자리로 가버리기 때문에 커피 만드는 모습을 볼 수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해당 매장 내의 알림판이나 정보가 없다면 자신이 마시는 커피 원두가 언제 로스팅 되었는지 등에 대한 정보를 알 도리가 없다.
때문에 이러한 화면이 달린 진동호출기를 도입하여 부수적인 광고 효과 뿐 아니라 고객이 간과하기 쉬운 정보마저도 전달해 줄 수 있다면 고객 접근성을 높일 수 있으며 고객 유치에 큰 도움이 될 것이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