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인의 맥주 선호는 유별나다. 단적인 예가 “とりあえず,なま!(우선 생맥주!)”라며 본격적으로 식사를 하기 전에 일단 맥주를 시켜 목을 축이는 것이고, 음식점이나 술집에서 보는 30대 이상의 일본 남자 중 열에 아홉은 이렇게 말하며 먼저 맥주를 시킨다. 그리고 맥주를 꼭 한 잔 하고 난 다음에야 청주나 소주로 옮겨 간다. 우리에겐 낯설지만 일본에서는 오래 전부터 하나의 습관으로 정착됐다고 하니, 맥주의 소비량이 적지 않겠구나 라고 짐작 할 수 있다.
하지만, 일본인이 집에서 마시는 맥주의 양은 더 많다고 합니다. 한 광고회사의 최근 조사결과 약 70%의 일본인이 집에서‘일주일에 한 번 이상’ 맥주를 마시는 것으로 나타났고, 25%는‘거의 매일’ 마신다고 응답했다고 한다. 주로 목욕을 한 뒤나 야구를 보면서 혼자 편하게 맥주를 마시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심지어 혼자 점심시간에 맥주를 마시는 직장인을 심심치 않게 볼 수도 있는데, ‘음료수를 대체하는 알코올’,이것이 일본에서 맥주의 이미지가 아닐까 싶다.
이처럼 맥주수요가 많다 보니, 시장을 둘러싼 맥주 회사의 경쟁도 치열하다. 현재 경쟁 구도는 2강 2중 1약입니다. 아사히와 기린이 각각 40%에 약간 못 미치는 시장 점유율로 1,2위를 다투고 있고, 그 뒤를 삿포로와 산토리가 각각 10%를 약간 웃도는 점유율로 3,4위를 차지하고 있다. 지난해 맥주 출하량을 보면 아사히가 1억8824만 상자(1상자는 20병)로 점유율 37.9%, 기린은 1억8730만 상자로 37.8%를 기록했다.
<중략>
(1) 현황
1987년 판매량이 5296만 상자였다. 88년 9010만 상자(수퍼드라이드라이가 7500만 상자)로 늘었다. 89년엔 1억 상자를 넘었다. 압도적으로 설비투자를 단행했다. 거품경제가 시작될 무렵이니 금융(완화)의 배경도 있었다."1986년-개혁 시점(일본이 거품경제에 진입하던 시기)이 아주 좋았다는 평가도 있다. 소비자는 호황기에 변화를 잘 받아들인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