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상의학1)은 조선 후기의 한의학자 이제마(李濟馬)가 사람의 체질을 특성에 따라 네 유형으로 나누고 그에 따라 병을 치유하는 체질의학을 말합니다. 사람마다 각각 다른 체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각자 자신의 체질을 알고 그 체질에 맞게 식습관, 생활 습관을 가져 건강관리를 한다면 어떤 치료책보다 훌륭하다고 생각합니다. 자신의 체질을 알고 있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제 체질을 사상의학적으로 판단해 보고 그에 맞는 건강관리방법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 나의 체질 판단
저의 체질은 ‘태음인(太陰人)’입니다. 태음인은 우리나라 사람들 중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체질입니다. 태음인은 겉으로 골격이 크고 비대한 사람이 많이 있습니다. 그래서 비만 인 사람을 조사해 보면 절반이 태음인이라고 합니다.
<중 략>
체질에 따른 성격과 식습관이 건강을 해칠 수 있는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에 특히나 태음인은 생활습관과 식습관을 신경 써야 된다고 생각합니다.
먼저, 태음인에 건강에 도움이 되는 생활 습관으로는 과식에 주의하기. 태음인들은 육식을 좋아하고 과식하기 쉽습니다. 그리고 항상 식욕이 좋고 식사량이 많은데 비해 움직임이 적고 게으른 성격으로 비만이 되기 쉽고 다른 체질에 비해서 살도 쉽게 찌는 체질입니다. 따라서 비만과 비만에 의해 야기될 수 있는 성인병을 예방하기위해서는 절대적으로 육류는 줄이며, 과식은 피하고 술과 담배를 삼가야 합니다. 그리고 태음인은 선천적으로 폐기능이 다른 장기에 비하여 약하게 태어났기 때문에 담배는 특히 해롭습니다.
참고자료
· 네이버 백과사전
· 디지털 타임즈 뉴스 기사
· 사상의학 학내 가상 내용
· 벽담 동의학 연구소 블로그 (태음인의 특징)
· 약초꾼 무명초 블로그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