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과미국의국제수지데이터,미국당좌예금거래,금융계정거래,미국경상수지,환율변동그래프
- 최초 등록일
- 2012.09.18
- 최종 저작일
- 2012.09
- 1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1,700원
소개글
한국과미국의국제수지데이터,미국당좌예금거래,금융계정거래,미국경상수지,환율변동그래프
목차
1. 서론
2. 한국과 미국의 국제수지데이터
2.1. 한국 국제수지표와 경상수지 및 자본계정 Graph
2.2. 미국 국제수지표와 경상수지 및 자본계정 Graph
3. 미국 당좌 예금거래와 금융 계정 거래 시간그래프
3.1. 미국의 경상수지 수출의 추세
3.2. 미국의 경상수지 수입의 추세
3.3. 미국의 경상이전 수지
3.4. 미국의 경상수지
3.5. 해외로 빠져나간 미국자본의 양
3.6. 미국 내의 외국 자산
3.7. 미국의 투자수지
3.8. 미국의 자본수지
4. 환율 변동 그래프와 이자율의 관계
4.1. 원/달러 환율 변동 그래프
4.2. 한국과 미국의 CD금리 변동 그래프
4.3. 원/달러 환율 변동과 한국CD금리와의 관계
5. 결론
본문내용
1. 서론
과제를 진행하기에 앞서 조모임을 가져본 결과, 조원들의 연령대가 상당히 비슷했다. 가장 낮은 학번이 08학번이었다. 이는 다시 말해서 조원 모두가 한 가지 공통적인 전 세계적 경제위기를 가장 밀접한 학문인 경제학을 공부하면서 겪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때문에 과제의 진행은 자연스럽게 2008년 경제위기와 그 이전의 경제양상이 어떠한 차이점을 가지고 있는 지에 대해 알아보는 방향으로 결정되었다. 뿐만 아니라, 각각의 자료를 토대로 어떠한 정책이 경제자료의 변화를 일으켰는지에 대해서도 함께 조사하기로 했다. 각 주제별 자료의 분석에서는 미국과 한국의 국제수지데이터 사이의 상관관계, 미국 금융 계정 거래의 변화와 국내 환율시장의 변동에 대한 내용을 중점으로 다뤘으며, 현실적인 경제현상과 원론적인 내용을 비교해 가면서 진행하였다.
<중 략>
원/달러 환율의 경우 2004년에서부터 2007년 말까지는 안정적인 모습을 보인다. 그러나 2008년, 미국 발 금융위기인 ‘서브프라임모기지’ 사태가 우리나라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기 시작했던 2008년 10월부터는 원/달러 환율이 급격하게 상승하기 시작하더니, 2009년 3월에는 최고치인 1457.98원 까지 기록하게 된다. 그 후 사태가 어느 정도 안정되고 나서 현재까지 원/달러 환율은 1100원선을 크게 벗어나지는 않고 있다. 2008년 금융위기 당시의 환율 상승 원인을 간단하게 분석해보면, 미국에서부터 시작된 위기였음에도 불구하고 안전자산으로써 실물자산과 달러에 대한 수요가 급증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금융위기로 인한 경상수지 적자현상이 외국투자자들의 주식처분 현상으로 이어졌으며 정부의 미숙한 대처로 인해 기업 간의 외화 확보 경쟁이 심화되었던 것이다.
2) 2004년 3월부터 2012년 4월까지 한국과 미국의 CD금리 변동 그래프
참고 자료
한국은행경제통계시스템 http://ecos.bok.or.kr/
국제경제학(제8판) 시그마프레스
국제금융론 율곡출판사
NAVER 지식사전 http://terms.naver.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