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일본의 대중문화
(1)대중문화란?
(2)대중문화의 현 실태와 역사
<1> 대중문화 출현의 역사적 배경
<2>대중문화의 종류와 그 실태
2.만화 영화
3.영화산업
4.첨단 게임
5.음식
6.음반
7.오락게임
8.방송
9.풍속산업
<3>일본 애니메이션의 역사
1.194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2.196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3.197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4.1990년대 일본 애니메이션
<4>미술의 역사
1.고대의 미술
2.에도 시대(江戶時代 1600∼1868년)
3.현대의 미술
<5>건축의 역사
1.헤이안 시대(平安時代)(794∼1185년)
2.불교 건축
3.신도(神道) 건축
4.현대 건축
1.일본의 대중문화
(1)대중문화란?
현대사회에 있어서 "대중"을 재산과 교양을 독점하는 소수 엘리트층과 대비되는 개념으로 파악할 경우, 대중은 우선 엘리트층이 주도하는 권력이나 거대조직, 그리고 매스컴의 영향력 앞에서 비교적 무력하고 수동적이며, 관료화된 사회체제로부터 일탈을 두려워하고 안주하기를 원한다는 등의 몇가지 특징적인 측면을 갖고 있다. 여기에 예술. 종교, 철학, 도덕, 문학, 과학, 법률 등 인간의 정신적 활동과 소산을 통칭하여 "문화"라고 할 때, 막연한 다수자로서의 대중이 정서적으로 공유할수 있는 문화일반을 이름하여 "대중문화"라고 할 수 있다.
(2)대중문화의 현 실태와 역사
<1> 대중문화 출현의 역사적 배경
* 신분적 제약 : 시민혁명으로 타파
* 지리적 제약 : 과학혁명(교통, 통신혁명)으로 극복, 광범위한 문화 교류, 공유
제1기 메이지기(1868년∼1910년대 후반)
제2기 다이쇼·쇼와초기(1920년대 초반∼1930년대 중반)
제3기 전시기(1930년대 후반∼패전)
제4기 전후 개혁 및 고도성장기(패전 이후∼1970년대 초반)
제5기 저성장기(1970년대 중반∼현재)
참고자료
· http://www.fractal.co.kr
· http://ichiban.pe.kr/jun-bang/jikang/daejung/992-dj1.htm
· http://web2.kwangju.ac.kr/~jrhee/info/ilbon2.html
· http://www.japanem.or.kr
· http://www.ichiban.pe.kr/jun-bang/bunka/dj1-20.htm
· http://www.koreanjp.com
· http://www.paichai.ac.kr/%7Eyjkim/ujc2002/11/11_2/sexless.htm
· http://www.xism.com/zne200204/2002040901.htm
· http://myhome.dreamx.net/boyclan/japansex.htm
· http://sutekida.hihome.com/cooljp/j-sex/japansexmain.htm
· http://www.dongeui.ac.kr
· http://www.ibosco.net/dbsc/dmedia/md_detail31_htm
· 주간 조선--안방을 차지한 일본문화
· 발췌 저서:제페니메이션이 세상을 지배하는 이유 지은이:박태견 발행처:길벗 발행일:1997
· 발췌 저서: 日本대중문화 지은이: 김필동 발행처: 도서출판 새움 발행일:2001년도
· 발췌 저서:일본-그 문화와 사회 지은이:이광준 발행처:학문사 발행일:1997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