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정의
2. 역학/발생빈도
3. 원인
4. 분류
5. 증상
6. 진단검사
7. 치료
8. 합병증/예후
9. 간호
< 참고 문헌 >
본문내용
1. 위치
1) 위치 : 왼쪽 상복부, 횡경막 바로 아래 간과 비장사이에 위치함.
2) 용적 : 약 1,500cc임.
2. 구조
1) 위 구조
① 분문(cardia) : 식도에서 위로 이행하는 위의 입구 부분
② 위저(fundus) : 분문부에서 갑자기 넓어진 왼쪽의 불룩한 부분
(음식을 삼킬 때 공기가 같이 들어가는데 음식물은 내려가고, 공기는 위로 올라와 위저에 모이게 됨.)
③ 위체(body) : 위저에서 내강이 갑자기 넓어지는 큰 부분으로 커다란 주머니 모양
④ 유문(pyloric) : 위가 소장의 윗부분인 십이지장과 연결되는 곳
⑤ 각절흔(angular notch) : 위체와 유문부분 경계에서 구부러지는 곳으로 암과 궤양이 발생하기 쉬움
(위로 음식물이 들어올 때 구부러지는 부위에서 마찰이 많이 일어나 위궤 양이 빈발함.)
7. 치료
1) 수술요법
위암 말기를 제외한 대부분의 병기에서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되는 치료법으로 암의 위치에 따라 위 전체를 다 제거하는 위전절제술과 위의 70% 정도를 절제하는 위아전절제술로 나뉘며 대개의 경우 위 주위 림프절을 절제해 내는 림프절 관청술과 함께 실시함.
* 위수술의 원칙
① 종양에서 충분한 안전거리를 두고 절제한다.
조기위암은 암병변의 주위로 부터 최소 2cm, 진행성 암은 4cm 이상의 거리를 두고 위절제를 해야 안전함.
② 위 주위의 림프절을 절제한다.
암이 옮겨가는 방식은 주로 혈류나 림프절을 따라 가거나, 위벽을 뚫고 복막에 씨를 뿌리듯이 파종함.
암이 자라날수록 위벽의 침윤이 깊어지며, 림프절 전이의 정도는 심해짐.
전이 가운데 위암에서 가장 흔한 전이 방식은 림프절을 따라 전이되는 것으로 수술로서 완치를 하기 위해서는 암이 전이된 범위보다 적어도 한 단계 더 림프절 절제를 해야 함.
③ 수술 중 암세포가 떨어져 나가 전이되는 것을 막기 위해 조직을 한 덩어리로 떼어낸다.
참고자료
· 성인간호학, 서문자외 공저, 수문사, 2004년
· 인체해부학, 노민희외 공저, 정담미디어, 2004년
· 보건복지부 - 국립암센터 국가암정보센터(http://www.cancer.go.kr)
· 구글 검색 - Gastric cancer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