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글의 제자원리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한글의 우수성과 중요성에 대해 자신의 견해를 서술하시오.
목차
차례
1. 머리말
2. 본문 - 훈민정음 자모음 및 문자의 형태학적 제자원리
(1) 자음 제자 원리
(2) 모음 제자원리
(3) 합자제자 원리
(4) 한글의 우수성과 중요성
3. 맺음말
※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머리말
로마자와 일본의 히라가나등 세상의 거의 대부분의 문자는, 존재했던, 혹은 존재했던 문자에서 파생된 것이다. 그러나 한글은 이와는 다르다. 한글은 15세기 세종대왕이 창제한 문자이다.
한편, 훈민정음은 "훈민정음해례본"이라는 원명으로 세계기록문화 유산과 국보70호로 지정된 목판본으로 33장 66면으로 되어있으며, 한자와 한글로 이루어진 책이다. 세계 최초로 문자창제에 대한 기록을 남긴 문헌으로 한글 239종 547자를 기록하고 있다.
‘제자 원리’는 파생되어 생긴 문자와는 달리, 창제되어 만들어진 문자에서는 ‘제자 원리’를 가질 수 있으며, 한글은 “훈민정음해례본”에서 ‘제자 원리’를 알 수 있다.
이에 본문에서는 “훈민정음해례본”을 통해 한글의 ‘제자 원리’를 살펴 보고자 한다.
※ 제자 원리 - 한글을 만드는 과정에서 적용된 여러 가지 이론과 방법들을 통칭한다.
2. 본문 - 훈민정음 자모음 및 문자의 형태학적 제자원리
훈민정음해례본 예의편 제자해(制字解)에 "정음 28글자는 각각 그 꼴을 본떠서 만들었다"(正音二十八字各象形其形而制之)고 하여 서문에서 밝힌 순서와 다르게 자모음을 제시하면서 문자 제작 원리를 제시하고 있다.
참고자료
· 디지털 한글 박물관(http://www.hangeulmuseum.org)
· 성결신학연구소 (http://sgti.kehc.org)
· 새국어생활 제6권 2호 - 한글의 제자 원리와 글자꼴, 강창석
· 훈민정음의 제자원리에 대하여 - 안병희, 강신항교수회갑기념 국어학논문집, 태학사.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