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민의 스포츠, 씨름
1983년 ‘민속 스포츠’를 내걸고 프로화한 씨름은 당시 변변한 볼거리가 없던 스포츠 팬들에게 최고의 ‘카타르시스’였다.
각기 개성이 다른 이만기, 이준희, 이봉걸의 끝나지 않을 것 같은 대결이 씨름을 80년대 최고의 프로 스포츠로 자리잡게 했다.
많은 관심 속에 대기업들의 프로씨름단 창단. 강호동, 이태현, 박광덕 등 스타선수들과 함께 90년대까지 최고의 인기를 구가한다.
90년 12회 천하장사대회 결승전 시청률 67.6%
왕년에 잘 나가던 우리 씨름
IMF와 함께 찾아온 씨름의 몰락
후원기업들의 프로씨름단 해체
‘힘만 쓰고 기술은 없는 재미없는 씨름’
경쟁스포츠의 등장
협회와 연맹간의 파벌싸움
C멘토 운영계획
주 1회 이상 멘티와의 교류
C멘토의 성향에 따라 프로그램 운영 & 지원
(훈련 강조형, 정신력 강조형, 자율형 등)
기술씨름 중심의 육성
맞춤형 교육실시, 팬서비스교육(쇼맨쉽)
훈련, 교육장소 제공(필요시 합숙소 제공)
소규모의 자체 대회 운영(샅바를 잡아라)
기타 프로그램 운영
(캠프, 멘토의 멘토, 우수멘티 해외연수)
최종목표 – 지역장사 씨름대회 참가
참고자료
· 김양례(2007) 민속씨름 활성화 방안 / 체육과학연구원
· 이동헌(2003) 민속씨름을 통한 마케팅 전략이 스포츠 관광산업에 미치는 영향
· /원광대학교 교육대학원
· 통계청(2007) 사회조사보고서 / 문화예술 및 스포츠 관람
· 한국경제매거진(2007. 6. 26) 프로슈머 시대의 마케팅
· 김학웅 / 씨름이야기
· 누리집
· 수림문화재단
· 한국씨름연구소
· 대한씨름협회
· 네이버 백과사전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