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대인들은 헌법을 갖고 있지 않다. 그들은 구약성경을 헌법으로 사용하고 있다. 구약성경은 정치, 군사, 경제, 문화, 사회, 교육, 가족, 대인관계, 종교 등 모든 삶의 분야를 총망라하는 광범위한 법조항을 구체적으로 갖고 있기 때문이다. 그것을 뼈대로 해서 헌법 밑의 법과 규례와 조례 등을 만들어 사용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교육도 성경을 뼈대로 이루어지는 것이 당연할 것이다.
1) 성경적 교육의 절대성
그들은 자녀들을 교육할 때 교육의 표준 교과서로 성경을 사용한다. 그러므로 그들의 교육은 자연스럽게 신앙적 교육이 되기 때문에 해도 좋고 안 해도 좋다든지, 점수만 잘 따면 된다는 생각과는 처음부터 거리가 멀다. 그들이 목숨 걸고 일생 믿고 살 하나님의 말씀의 교훈과 명령으로 된 내용이므로 그들의 교육은 지식적 교육이 될 수 없고 실천적 산교육이 된다. 그들의 교육은 지식을 키워주는 것이 아닌 하나님의 말씀대로 사는 ‘하나님의 사람’을 만들어 내는 진정한 인간양육 교육이 된다.
이것은 성경을 통해 신앙과 교육을 하나로 결합시키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이것은 한국 같은 지식교육이 아닌 진리의 사람을 만들어내는 올바른 교육이 된다. 여기에서 사람을 근본적으로 변화시키는 참 교육의 능력이 솟아 나온다.
2) 성경적교육의 무의식교육, 의식교육
유대인들은 그들의 자녀들을 3살 때부터 성경 말씀을 읽히고 암송시킴으로 교육을 시작한다. 원래 인간은 유치원시절(7세까지)에 그 인격의 뼈대가 90%정도 형성된다고 한다. 유대인들은 유치원 시절까지 그들의 무의식과 인격 속에 성서적 가치관을 세우도록 애쓴다. 그들은 중·고등학교 시절까지 오전은 성경말씀만 교육받고 오후에 비로소 일반학과를 공부한다. 그들은 커서도 의식적으로 배운바 성경적 교훈대로 다른 학문도 사용하도록 훈련되어진다. 그러므로 그들은 대학에 들어가서도 변함없이 성경의 교훈과 가치관을 따라 자신의 미래를 만들어 가게 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