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전문학의이해-고대가요,황조가
- 최초 등록일
- 2012.07.09
- 최종 저작일
- 2008.05
- 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고대가요 황조가 분석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황조가의 작자
2. 황조가의 해석
3. 황조가를 보는 관점
Ⅲ. 결론
* 참고문헌
본문내용
흔히들 <황조가>를 고구려 제2대 유리왕의 작품으로 보고, 제작연대를 유리왕 3년, 즉 기원전 17년으로 잡는다. 그리고 그 제작 동기는 사랑하는 아내를 잃은 슬픔이라고 하여 국문학사상 최초의 서정시로 규정하고, 본래 이 노래는 한시로 된 것이 아니고 국어로 된 것을 뒤에 한시로 번역해서 기록한 것이라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이와는 다르게 몇몇 논자들은 창작시기가 유리왕 시대라는 점 때문에 서정시로 보기를 주저하고 서사시로서 간주하려고 하기도 했다. 또한 고대인들의 시적발상법에 대한 마르셀 그라넷의 견해에 따라 계절적인 제례의식에서 마음에 드는 처녀에게 사랑을 호소했다가 거절당한 남자의 애절한 구애곡이라 하거나, 혹은 종족사이의 대립, 투쟁을 화해시키려다가 실패한 추장의 탄성으로 이해해야 한다는 등?삼국사기?의 기록과는 상당히 배치되는 이견이 제시되기도 하였다. 그 작자도 사실은 누구인지 알 수 없고 제작연대도 정확하게 알 수 없는 고대가요로서 고구려 유리왕의 설화 속에 끼어들었다고 보는 것이다. 이 밖에 노래의 대상이 송씨라는 주장도 있었고,2) ‘화(禾)’가 벼,‘치(雉)’가 꿩인데 착안하여 화희와 치희의 쟁투에서 치희가 부끄럽게 여기고 유리왕 곁을 떠났음을 당시의 시대상과 결부시켜, 유리왕 대가 수렵 경제 생활 체제에서 농경 경제 생활 체제로 발전되던 역사적 사살을 신화적으로 투영한 것이라고 추정하는 견해도 있다.
이렇게 볼 때, <황조가>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학자들의 여러 가지 견해들을 알아보고 이해할 필요가 있겠다.
참고 자료
김승찬,《한국 상고 문학론》, 새문사
곽정식,《구비문학의 이해》, 신지서원
장덕순, 《한국 문학사의 쟁점》, 집문당
임기중, 《옛 노래 시로 읽기》, 이회
정병욱, 《한국 고전 시가론》, 신구문화사
김부식, 《삼국사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