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0년대 중반까지: 유형학적 접근 시기
→주로 미국의 토착적인 건물 유형에 대해서 연구한 시기이며
형태와 프로그램의 관계에 대해 집중함.
80년대 중반 이후: 현상학적 접근 시기
→건물의 대지의 관계를 역사적, 문화적 맥락에서 찾음으로써
현상학적 의미를 부여하며 또한 이것을 육체의 감각적 수준에서
지각하게 함으로써 현상적 공간을 제시함.
반 문화적 풍토의 예술적, 지적 주변에서 성숙해옴
유형학적 접근 시기
현상학적 접근 시기
스티븐 홀의 이론적 배경
site + phemomena + ldea + history
(대지) (현상) (생각,개념) (역사)
Neo-modernism
기존 모더니즘의 표준화와 반복 / 경계를 통해 이루어짐. 대지, 상황, 프로그램에 따라 개념의 구조가 달라짐.
차별화된 통일적인 구조물에 대한 체계적인 경향을 보임.
→일괄적이고 특정한 상황에 좌우되지 않는 공간적 직관을 의미함. 절대적 양식은 없으며, 추상적이며, 형이상학적 사고는 공유되나,
표현은 작가의 개인별 특징에 따라 구별되어져야 한다고 주장.
전이공간을 집중도 높은 공간으로 사용 → 중심성 해체된 공간을 사용.
내 / 외부 공간 구성의 이중성 개념을 사용? 공간의 다원적 해석을 유발시킴.? 고정된 관계란 있을 수 없음을 주장.? 많은 초점을 가진(공간, 시간, 건축)에 또 다른 차원을 생성 / 공간의 해석을 다변적으로 이끔.
홀의 네오 모더니즘이란 모더니즘이라는 공통의 이념에 융합되어 있음.
공간구조의 다양한 연대기적 변화를 볼 수 있음.
(선택적으로 요소를 축출해내어 대응)
Post-Modernism : 공간자체의 구조에는 영향을 미칠 수 없고, 공간 구성상의 방법으로 변화를 받는다고 주장.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