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SCM에 대한 용어의 정의와 개념
(1)공급사슬관리(SCM: Supply Chain Management)란 무엇인가?
공급망 관리(供給網管理, supply chain management, SCM)란 부품 제공업자로 부터 ,배포자, 에 이르는 물류의 흐름을 하나의 가치사슬 관점에서 파악하고 필요한 정보가 원활히 흐르도록 지원하는 시스템을 말한다. 기업 내에 부문별 최적화나 개별 기업단위의 최적화에서 탈피하여 공급망의 구성요소들 간에 이루어지는 전체프로세스 최적화를 달성하고자 하는 경영혁신기법이다.
마이클 포터는 그의 책 『Competitive Advantage』에서 가치사슬(value chain)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며 사슬에 있는 각 활동이 어떻게 가치를 창출하고 비용을 소요하는가를 강조하였다. 공급사슬(Supply Chain)이란 용어의 개념은 포터의 이 가치사슬(value chain)개념과 유사하며 이것에서 비롯되어 확장되었다고 보는 견해가 있다. 이 용어에 대한 정의와 개념은 학자에 따라 약간씩 다르기는 하나 이 개념을 바탕으로 공급사슬관리(SCM)의 개념을 일반적으로 다음과 같이 정의내릴 수 있겠다.
<중 략>
<월마트와 P&G의 관계>
초기에 월마트와 P&G는 상호 적대적 관계가 지속되고 있었다. 월마트는 이런 식의 신경전이 상호의 효율개선에 도움이 되지 않는다는 판단 하에 다음과 같이 제안을 한다. 즉, “월마트는 유력 메이커의 고객지향을 위해 노력하고 있으며 납품업자인 귀사와 상호간에 정보를 공유함으로써 소비자의 이익을 증진시킬 수 있을 것이다. 아울러 월마트의 성장은 고객동향을 파악하기 쉽게 하며 물류를 개선하는 점에 있어서도 양 사가 공동으로 작업을 실시, 신속한 의사결정을 수행하여 능률을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다”라고 제안을 하였다.
이러한 제안을 P&G가 전격적으로 수용함으로써 P&G는 월마트의 POS데이터를 EDI를 통해 신속하게 파악하고 QR에 의해 신속한 발주업무를 수행, 이러한 방법으로 온라인이나 Real time으로 수주상품을 자동공급의 형태로 월마트의 배송센터에 일괄해서 직접 발송할 수 있게 된 것이다. P&G 공장에서 지역 배송센터로의 수송은 월마트의 배송차가 각 점포를 제품을 공급하고 난 후 배송센터로 돌아가는 길에 P&G에 들러 제품을 가져오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다. 이는 수송의 적재율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지역 배송센터에서는 인수 즉시 점포별로 자동분류해서 각 점포로 배송한다.(Cross-docking) 장식용 종이박스에 바코드를 부착해 자동분류는 물론 입-출 하시 제품검사를 자동으로 실행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