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대한국복식
- 최초 등록일
- 2002.11.23
- 최종 저작일
- 2002.11
- 2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1,500원
목차
Ⅰ.상대한국복식의 기본구조와 특성
1. 상대사회 복식
(1) 상대시대의 사회 발달과 의복
(2) 우리 나라 고유복식
2. 상대 사회 구성과 복식양상
(1) 고구려
(2) 백제
(3) 신라
3. 상대복식의 기본형과 특성
(1) 기본형
(2) 관모
(3) 장신구
(4) 특성
Ⅱ 삼국시대의 복식
1. 고구려 복식
◎ 역사 문화적 배경
2. 백제 복식
◎ 역사 문화적 배경
3. 고신라 복식
◎ 역사 문화적 배경
Ⅲ.상대복식의 복식문화적 위치
1. 상대복식에 있어서의 포피적 성능
2. 상대복식에 있어서의 효능적 성능
3. 상대복식에 있어서의 위생학적 관찰
4. 상대복식에 있어서의 미적인 면
본문내용
1. 상대사회 복식
(1) 상대시대의 사회 발달과 의복
- 상대시대의 복식은 사회가 발달에 의해 계급의 차이로 인해 변천하게되고 분화하였다.
이 밖에도 문화, 종교발달로 인해 의복이 발달하고 복잡해져갔다.
복식은 사회가 발달함에 따라 형태가 여러 가지로 변천하게 되는데, 그 요인을 들어보면 우선 사회발달에 의한 계급의 차이로 인한 변천요인으로서 삼한시대(三韓時代)에 이미 빈부(貧富)에 의한 경제적 계급과 전쟁포로에 의한 노예계급이 분열되어 있었다.
이밖에도 문화, 종교발달로 인한 변천요인 등이 있는데 이들 요인에 의해 복식이 분화 발전되고 복잡성을 띄우면서 제도화되어 갔다. 우리 나라의 삼국시대 이전의 상대 사회의 여러 국가는 부족국가 형성요소를 가졌었다.
따라서 생산에는 노예를 사역하게 되고 재산사유의 경향이 현저하였다. 삼한시대의 기록에 의하면 일반인은 머리에 맨 상투를 노출했다는 것을 알 수 있고, 책은 수장(首長)급의 관모였던 것으로 생각된다. 이것으로 삼한시대에 이미 상하(上下)의 계급이 분열되고 그에 따른 복식구분이 있었음을 알 수 있다.
그 후 고구려, 백제, 신라 등 왕국수립시대에 이르러서는 빈부의 격심한 차, 국가기구의 복잡화, 신분지위의 차이가 현저해지고 이에 따라 복식도 거듭 분화되어 갔다.
참고 자료
·『우리옷 이천년』, 2001, 문화관광부 한국복식문화 조직위원회, -미술문화-
·『한국의 복식문화』, 백영자, 최해율 -경춘사-
·『한국복식문화사』, 유희경, 김문자 -교문사-
·http://ksys10.knou.ac.kr/korea_costume/main.htm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