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어지식탐구 제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탐구문제
- 최초 등록일
- 2012.06.12
- 최종 저작일
- 2012.06
- 25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400원
소개글
국어지식탐구 제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탐구문제에 관해 조사하는 과제 입니다.
국어지식탐구 제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탐구문제에 관해 작성 했습니다.
국어지식탐구 제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탐구문제에 대해 궁금하신 분이 구매해 주시거나,
국어지식탐구 제7장 국어 생활의 실제 탐구문제에 관한 리포트 작성이 필요하신 분이 구매해 주세요.
목차
1. 한글 맞춤법
1.1. 총칙과 자모
1.2. 소리에 관한 것
1.3. 형태에 관한 것
1.4. 띄어쓰기
1.5. 그 밖의 것
2. 표준어와 표준 발음
2.1. 발음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2.2. 어휘 선택의 변화에 따른 표준어 규정
2.3. 표준 발음
3. 한자와 한자음
3.1. 한자의 삼 요소
4. 단어의 정확한 사용
4.1. 정확한 단어 사용의 원리
4.2. 단어의 구성
4.3. 단어의 의미
4.4. 단어의 화행적 용법
5. 문장의 정확한 사용
5.1. 정확한 문장 사용의 원리
5.2. 문장의 문법성
5.3. 문장의 적절성
6. 텍스트의 논리적 생산
6.1. 논리적인 텍스트 생산의 원리
6.2. 텍스트의 결속구조
6.3. 텍스트의 응집성
6.4. 텍스트의 완결성
7. 풍부한 표현
7.1. 풍부한 표현과 어휘력
7.2. 어휘력과 표현
7.3. 사전
7.3.1. 정규 사전
7.3.2. 활용 사전
본문내용
1. 한글 맞춤법
문자로서의 한글의 역사는 훈민정음의 창제와 더불어 시작된다. 훈민정음에 의한 표기는 비공식적인 언문으로 불리다가 갑오경장(1894)을 계기로 공식적인 국문으로 전환되면서, 국문을 공용하기 위한 철자법을 제정할 필요성이 제기되었다.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한글 맞춤법 통일안’을 제정하여 발표할 때까지 사용된 그동안의 우리말 표기 방식은 표음주의 표기였다. 그러나 주시경 선생부터 형태주의 표기에 의한 뜻을 밝혀 적는 방식이 정착되었다.
오늘날 우리가 사용하고 있는 ‘한글 맞춤법’도 1933년 10월에 조선어학회가 마련한 형태주의적인 ‘한글 맞춤법 통일안’에 기초를 두고 있다. 아울러 북한도 이를 기반에 둔 맞춤법을 채택하여 분단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한글로 적는 방식에 큰 차이가 없다.
<중략>
6.2. 텍스트의 결속구조
텍스트 단위들을 긴밀하게 연결하는 방식으로는 동일한 내용어나 구조어를 반복하여 텍스트를 한 덩어리로 묶거나 지시어나 접속어미와 접속부사와 같은 접속어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다.
* 탐구문제
1. 다음 두 텍스트의 구성방식을 비교해 보고, 어느 쪽이 효과적인 연설의 텍스트인지 검토해 보자.
두 번째 연설이 더욱 효과적이다. 우선 두 번째 연설은 첫 번째 연설보다 문장 길이가 짧아 사람들이 이해하기가 쉽다. 또한 설의법을 통해 강조하고자 하는 의미를 청자가 더욱 효과적으로 받아들일 수 있다.
2. 다음은 윤동주에 대한 정지용과 윤일주의 문답 텍스트이다. 이 텍스트에 나타난 결속구조의 특징을 밝혀 보자.
텍스트의 결속구조는 일반적으로 반복, 지시어, 접속어, 생략 등의 장치로 확보되지만, 의미 전개에 일관성을 있다면 결속구조를 갖춘 것으로 본다. 이 텍스트에서도 반복, 지시어, 접속어 등은 없지만 생략과 문답을 통해 의미적으로 일관성을 보여준다.
<중략>
1. 특수 사전들의 국내 출간 현황을 조사해 보자.
- 분류 사전 : ‘우리말 분류사전’(남영신, 1987), ‘우리말 갈래사전’(박용수, 1988)
- 도해 사전 : 국어에는 없음.
- 유의어 사전 : ‘유의어, 반의어 사전’(김광해, 1987)
- 어원사전 : ‘우리말 유래 사전’(박일환, 1961), ‘국어어원사전’(서정법, 2000),
‘한국어 어원사전(조영언, 2004)
- 방언사전 : ‘한국방언연구’(김형규, 1975), ‘한국방언사전’(최학근, 1978), ‘방언사전’ (김병제, 1980), ‘조선어방언조사보고’(선덕오/조습/김순배, 1990), ‘각 도별 한국방언자료집’(한국정신문화연구원, 1987~)
- 전문용어사전 : 매우 다양하다.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