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개글
단군,기자,위만 조선에 대한 설명과 강역문제를 다룸
목차
머리말
①⟪古朝鮮⟫의 명칭
②⟪檀君朝鮮⟫에 대한 설명과 문제
③⟪箕子朝鮮⟫에 대한 설명과 문제
④⟪衛滿朝鮮⟫에 대한 설명과 문제
⑤古朝鮮 강역(疆域)과 중심지 문제
맺음말
본문내용
古朝鮮은 우리 역사상 韓半島(한반도)와 만주지역에 形成(형성)된 최초의 國家(국가)이며, 古朝鮮에 관한 역사는 우리 民族史(민족사)의 出發(출발)이다. 이러한 점에서 古朝鮮史(사)는 많은 연구가 있었지만, 당시 문헌자료가 극히 적고 내용도 단편적이기 때문에 많은 論難(논란)도 있어왔다. 우리는 이 시간을 통해 막연히 檀君神話(단군신화)로만 알고 있는 古朝鮮을 역사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으로 살펴보고, 檀君朝鮮, 箕子朝鮮,,衛滿朝鮮이 어떤 國家(국가)인지 알아보고, 古朝鮮의 中心地(중심지)와 江域(강역)에 대한 여러 가지 說(설)들을 살펴보자.
① ⟪古朝鮮⟫의 명칭
흔히 이성계가 세운 조선(朝鮮)과 구분하기 위해 ‘옛날의 조선’이란 뜻으로 ‘옛 고’자를 붙여 ⟪古朝鮮⟫ 이라는 명칭을 쓴다고 생각하지만 그렇지 않다. 고조선이라는 표현은 일연이 쓴『삼국유사』에 처음 등장하며, 고조선이라는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일연이 ⟪衛滿朝鮮⟫과 구별하는 의미로 삼국유사에서 고조선이라는 명칭을 쓴 것이다. 일연이 쓴 ‘고조선조’에 ⟪檀君朝鮮⟫과 ⟪箕子朝鮮⟫을 함께 기록하고 있는데, 고조선이란 이름 옆에 ‘왕검조선(王儉朝鮮)‘이라고 부기해 고조선을 왕검조선과 같은 것으로 인식했다. 또한 살펴볼 것은 우리의 傳統史書(전통사서)에는 ⟪古朝鮮⟫이라는 표현이 주로 나타난다. 그러나 中國 측 史料(사료)에서는 ‘朝鮮’이라는 표현이 시종 유지되고 있다. 國名(국명)은 ‘朝鮮’ 인데 훗날 학자들이 ⟪古朝鮮⟫, ⟪檀君朝鮮⟫, 王儉(왕검)朝鮮, ⟪箕子朝鮮⟫, 濊貊(예맥)朝鮮, ⟪衛滿朝鮮⟫ 등 구분하기 쉽게 붙인 것이다. 한 가지 예를 들자면 김춘추가 三國을 統一(통일)하고 난 후 國名은 그대로 ‘新羅(신라)’인데 훗날 학자들이 統一 前의 新羅와 統一 後의 新羅를 구분하기 위하여 ‘統一新羅’라는 이름을 붙인 것과 같은 脈絡(맥락)이라고 보면 이해가 쉬울 것이다. 즉, 일연은 ⟪箕子朝鮮⟫․⟪檀君朝鮮⟫을 고조선으로 인식했으며 ⟪衛滿朝鮮⟫을 따로 인식하여 2조선체제로 인식하여 고조선이라는 말을 생기게 했다.
참고 자료
국사편찬위원회 편, 『韓國史論14』, 1985
이덕일·김병기, 『고조선은 대륙의 지배자였다』, 역사의아침, 2007
송호정, 『한국 고대사 속의 ⟪古朝鮮⟫사』, 푸른역사, 2003
곽창권, 『韓國古代史의 構成』, 범한, 1999
김충현, 『한국사4』, 국사편찬위원회, 1997
강대민·한규철, 『韓國史特講』, 경성대학교출판부, 1999
강만길 외,『韓國史1,2』한길사, 1994
이기백,『韓國史市民講座 2집』一潮閣, 1988
노태돈, 이기백 편,『韓國史市民講座 27집』一潮閣, 2002
윤내현『韓國古代史新論』 1978
이병도『韓國古代史硏究』 196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