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 건축, 조경
1. 지속가능한 건축 - 일본 마부치 모터 본사
1-1 Project Outline / 건축개요
1-2 Special Features / 건물의 특징
1-3 참고할 만한 요소들
1-3 결론 - 마부치 모터 본사
2. 지속가능한 건축 - 니혼대 과학기술대학
2-1 Project Outline / 개요
2-2 Special Features / 건물의 특징
2-3 참고할 만한 요소들
2-4 결론 - 니혼대 과학 기술대학
도시, 건축, 조경
1-1 지속가능한 조경이 되기 위해
출처
본문내용
지속가능한 건축이란
지속가능성이란 현세대뿐만 아니라 그 다음세대, 또 그다음세대로 넘어가면서 지구환경과 더불어 살아가기 위해 만들어낸, `지구와 그 안에서 살아가는 인간 및 생태계의 영원한 공존` 이라는 개념이다.
우리는 현재 도시화 되는 사회에 살고 있다. Urban Scale의 건물 환경은 지속가능성 시스템과 서로 긴밀환 관계를 맺고 있다. 빠른 도시화 현상은 도시지역의 열섬 현상에 영향을 준다. 건물 환경의 LULC 변화는 기후 변화에도 영향을 미치기 때문이다.
이러한 도시화 현상은 인간들 삶에 많은 영향을 끼치는데 우선 열섬현상으로 인한 죽음은 홍수나, 지진이나, 허리케인과 같은 자연적인 제해들로 인한 죽음보다 더 많다. 이는 건물 환경이 사람의 건강에 직접적인 영향을 끼치기 때문이다. 또한 열섬현상은 도시 범죄 증가율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건물 환경이 물의 사용량 및 공기의 질, 에코 시스템 뿐 만 아니라 삶의 전반적인 부분에도 영향을 주는 것임을 알 수 있다.
21세기에 위와 같은 문제들이 대두되고 있으므로 우리는 이제 건물을 단순한 물체가 아닌 지속가능한 삶의 터전으로 여겨야 한다. 이를 위하여 우리가 고려해야 할 세 가지가 있다.
우선 건물의 재료가 건물 에너지 및 열에도 영향을 줄 수 있다는 것을 인식해야 한다. 지금까지의 인식은 환경을 고려하지 않은 단기 이익적인 부분에서 건물의 재료를 선택하는 경우가 많았다. 하지만 이는 장기적인 안목에서 보았을 때 오히려 환경과 우리 모두에게 해가 되는 것이다. 앞으로 건물들의 재료는 이러한 인식을 바탕으로 선택 되어야 할 것이다.
두 번째로 우리는 자연적인 디자인에 대해서 생각해야 한다. 낭비적이고 자연 파괴적인 디자인이 아닌 자연 친화적인 디자인을 선택하여 지속가능한 삶의 터전을 만들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교육적인 측면에서 살펴보아야 한다. 도시로의 인구이동이 좀 더 거대해 지고 있는 지금, 사람들에게 지속가능 삶에 대한 시스템의 필요성 인식이 커져야 한다. 결국 이 시스템이 배고픔과 빈곤을 감소시켜 줄 수 있는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건물환경을 위한 지속가능성 교육이 필요성 인식에 대해서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다.
참고자료
· 출처 - 조 용 현 박사 (서울시정개발연구원) 한국 건설 신문, 지속 가능한 도시 뉴랜드 - “기후변화” , 일본의 지속가능한 건축물 , 일본의 지속가능한 물 관리에 관한 지혜의 재생논문 , 지속가능한 도시재생을 위한 공공과 민간의 파트너십에 의한 지역의 관리운영에 관한 연구 : 일본의 대도시 도심부를 사례지역으로의 논문 , 경향하우징 웹사이트 ,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