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귀자『천년의 사랑』 작품론
- 최초 등록일
- 2012.05.15
- 최종 저작일
- 2012.05
- 3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500원
소개글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 작품론입니다~!!
목차
[1] 들어가며
[2] 소설 속에 드러난 대중문학의 통속성
1) 환상성
2) 감상성
[3] 소설 속에 드러난 연애소설의 요건
1) 전면적으로 드러나는 남녀 간의 사랑
2) 사랑을 방해하는 요소의 등장
3) 사랑의 목표 및 지향점
4) 작가의 사랑관 표명
[4] 나가며
[5] 참고자료
본문내용
[1] 들어가며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은 1995년에 발표된 작품으로, 당시 전생이라는 소재로 독자들뿐만 아니라 사회적으로 큰 인기를 얻었으며 관심을 받았다. 그동안 현실적이며 사회적으로 이슈화되고 있는 소재로 소설을 썼던 작가가 느닷없이 전생이라는 소재로 소설을 발표하자 문학계와 독자들은 큰 관심을 보였다. 문학계는 본격적으로 판타지가 인기몰이를 했고, 사회에서는 전생이나 무속에 관심을 가지게 됐다.
이 글에서는 소설 속에 드러난 대중문학의 통속성과 연애소설의 요건이 어떻게 작품 속에 드러났고, 그러한 내용들을 통해 작가가 어떻게 독자들의 호응을 얻어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2] 소설 속에 드러난 대중문학의 통속성
1) 환상성
먼저 이 작품에는 대중소설의 통속성의 요소 중 ‘환상성‘이 드러난다. 대부분의 대중소설은 독자의 기대와 예상을 배반하지 않기 때문에 독자로 하여금 위안과 만족을 준다. 우리가 ‘하고 싶은’ 일을 마음대로 할 수 있는 현실이 아니라 ‘해서는 안 되는’ 일과 ‘꼭 해야 할’ 일이 더 많은 현실 속에서 대중소설은 우리의 좌절된 욕망을 대리만족 시켜줌으로 현실의 고통에서 잠시 비껴나가게 한다.
“당신의 부름을 들었습니다.”
“남자가 말했다.
“어떤…….”
여자는 남자의 말을 얼른 해석하지 못하였다.
“그대가 말했습니다. 그대에게 와달라고.”
여자는 눈을 커다랗게 떴다. 사실이었다.
(중략)
너무나 사무친 마음이 속으로만 그렇게 나즈막한 외침을 담았을 뿐이다.
“당신은, 당신은, 그 먼 노루봉에서 내 마음의 속삭임까지 듣나요?”
여자는 떨리는 소리로 묻는다.
“듣고자 하면 듣지 못할 것이 없습니다. 내 영혼과 당신의 영혼은 이어져 있습니 다. 그것은 내가 그렇게 이어져 있기를 간절히 원했기 때문입니다.”1)
참고 자료
양귀자, 『천년의 사랑』(상), 살림, 1995.
양귀자, 『천년의 사랑』(하), 살림, 1995.
이은자, 「1990년대 연애소설 一考 : 양귀자의 『천년의 사랑』을 중심으로」, 숙명어문논집, 1998.
진희경, 「양귀자 소설의 현실인식에 대한 연구」, 한남대학교 석사논문, 20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