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운몽작품분석1
- 최초 등록일
- 2012.05.09
- 최종 저작일
- 2006.07
- 19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3,000원
소개글
구운몽 작품 분석 A플러스
목차
1. 서론
1) 시대적 배경
2. 본론
1) 무대 배경 - 사상과 관련하여
2) 사상과 성격상의 특징
3) 등장 인물 분석
4) <구운몽(九雲夢)>의 제목에 대한 의미
5) 사건 진행 과정
6) 구운몽의 한계점
3. 결론
1) 구운몽의 문학적(文學的) 가치
2) 구운몽의 문학사적(文學史的) 가치
3) 작품의 의의
본문내용
2) 사상과 성격상의 특징
<구운몽>은 불교사상을 핵심으로 하여 유교, 불교가 혼합되어 나타나고 있다. 특히 삼교가 혼연일치를 이룬 것이 사실이나, 그 중에서 ‘공’사상이 차지하는 비중이 큰 것 또한 부인할 수 없다.
구운몽에 나타난 환몽 서사구조의 진정한 의미와 그 주요 사상은 무엇인가? 결론부터 말하면, 불교의 [金剛經] ‘公’ 사상 이라 하겠다. 논자에 따라 일부다처제의 긍정으로 보기도 하고18), 다른 고대소설과 마찬가지로 환몽소설로 인간의 부귀 영화가 덧없는 것(無常)으로 보기도 하는19) 등 이견이 많으나, 어디까지나 혼미함에서 벗어나 깨달음에 달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空 사상의 구조이다.
작품 전체가 그렇다고 볼 수 있겠지만, 국문본 <九雲夢> 제16장의 말미에 언급되어 있는 금강경 한 구절은 이를 잘 보여준다. <구운몽>에서 ‘공’사상이 두드러지게 드러나는 곳은 육관대사가 성진에게 금강경 큰 법을 베풀어 깨닫게 하기 위해 꿈을 꾸게 한 부분이다.
일체의 인위적인 법은 마치 꿈과 환영과 물거품과 그림자와 같은 것이니라.
이슬과 같고 또한 번개와 같은 것이어서 응당 이와 같이 볼지니라.
<구운몽>에서 양소유가 전생의 팔선녀와 향략을 누리는 생활을 빼버리면 ‘공’사상의 강조도 빛을 보지 못하고 만다. 그러므로 <구운몽>이 공사상을 드러나게 하는데 도교는 매우 큰 역할을 한 것이다. 서포는 양소유의 생활상을 ‘空卽是色’, ‘色卽是空’에서 ‘色’으로 보고, 성진은 ‘空’으로 대했던 것이다. 그의 스승 육관대사는 성진을 수제자로 키우기 위해 잠시 꿈속에서 허영되고 타락한 유가적인 생활을 경험하게 한 것이다. 꿈에서 깨어난 성진은 부귀영화가 덧없다는 것을 깨닫게 되고, 더욱 불도 정진에 전념하게 된다. ‘空’과 ‘色’은 서로 나눌 수 없는 관계이며, 이 두 세계가 서로 각기 떨어지게 되면 심각한 괴리현상이 일어난다.
참고 자료
조동일, 한국문학통사, 지식산업사
박태상 외, 고전소설론,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출판부
민족문화대백과 사전, 한국정신문화연구원
공명철의 열린국어 강의노트, http://ipcp.edunet4u.net/~koreannote/
강기룡의 정선국어 자료실 (http://korstudy.com/literature/gojeon/novel/summary.htm)
구운몽 (http://www.hallym.ac.kr/~korean/novel/구운몽/guun-home.html)
정미숙, <구운몽>에 나타난 인물들의 관계양상, 순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박용철, <구운몽>의 문학교육적 연구, 고려대 교육대학원 석사학위논문, 2001
이경수, 구운몽 연구 : 사상과 작가의식을 중심으로, 경희대 교육대학원, 1995
정영혜, 九雲夢의 思想性 연구, 성균관대 대학원 석사학위논문, 1991
송하천,「구운몽에 나타난 사상연구」, 전남대학교 석사학위논문, 198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