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유의 비중 측정
실험목적
신선하고 위생적으로 안전한 시유를 공급하고, 시유 규격에 맞는 우유를 판별하고자 함
실험재료
? 재료 : 우유(정상 및 이상우유)
? 기구 : 메스실린더(200∼250㎖), 우유비중계(lactometer : 1.015∼1.045), 온도계
이론적 배경
● 우유의 조성분은 젖소의 품종, 영양상태, 년령, 비유기, 계절 및 사료에 따라 다름
● 우리나라에서 사육되고 있는 Holstein의 경우
: 고형분들 평균 조성은 단백질이 3.30%, 지방 3.52%, 유당 4.70%, 회분 0.69% 및 미량의 기타 성분으로 되어 있음
● 우유의 조성분이 다르면 우유의 화학적 및 물리적 성질도 달라짐
→ 우유의 화학적 성분 및 물리적 특성을 측정
→ 우유의 품질을 판별하는데 이용됨
? 우유의 비중은 15℃에서 1.027∼1.034로 평균 1.032
? 탈지유의 비중은 15℃에서 1.032∼1.036으로 평균 1.034 임.비중을 측정을 통해 유지방이 많고 적음과 정상유인지 아닌지를 어느 정도 판별 가능
? ex) 우유에 가수를 하면 물의 비중이 우유보다 낮기 때문에 우유의 비중은 낮아짐
? 농축을 하게 되면 고형분 특히 비중이 무거운 무지고형분(S.N.F)의 비율이 높아지므로 비중은 올라감
실험방법
1. 메스실린더에 시료(우유)붓기 (거품이 나지 않도록,메스실린더의 2/3정도)
2. 우유 비중계 넣기 (비중계의 끝 부분을 가볍게 잡고 우유속에 조용히 집어 넣고 부력이 생기면 살며시 놓음) →매니스커스 상단을 읽을 것, 온도도 측정해 둘 것
3. 보정하기 (보정표 활용 → 15℃의 비중으로 보정함.)
▶ 보정표가 없을 때의 환산공식? 15℃의 비중 = 비중계의 눈금 + (시료의 온도 ℃ - 15℃) x 0.2
▶ 비중계에는 눈금이 15에서 45까지 있는데 여기에는 1.0이 생략되어 있으므로 실제로 측정할 수 있는 비중은 1.015에서 1.045임
고찰 및 결과
? 신선유 : 우유의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