캐나다_비교정치,마케팅,브랜드,브랜드마케팅,기업,서비스마케팅,글로벌,경영,시장,사례
- 최초 등록일
- 2012.04.20
- 최종 저작일
- 2012.04
- 21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2,000원1,700원
소개글
캐나다위치: 북아메리카 대륙 북부수도: 오타와(Ottawa)언어: 영어, 프랑스어정치: 의원내각제경제: 선진 공업국가로서미국과 자유무역 협정, 미국이 전체 무역의 80% 차지선거제도: 소선거구제(다수대표제)정치적 배경캐나다의 탄생 배경발견 이후 프랑스인들 퀘백지역에 정착영국과 프랑스의 북미대륙 쟁탈전⇒ 영국의 승리 (1763)1867년 7월 1일 캐나다 연방정부 수립프랑스계퀘백카톨릭 교도영국계서부신교도‘ 캐나다의 지역주의와 각 지역의 정치문화 ’산업화와 사회주의 확산프랑스 이주민 정착농업사회의 보수성 + 사회민주주의 확산보수적 성격양당제에서 다당제로‘1988년 이전과 1993년 이후’1988년 이전과 1993년 이후
목차
캐나다 기본 배경
양당제에서 다당제로
1988년 전후와 1993년 이후
다당제에서 양당제로
2011년 총선
결론
본문내용
‘ 캐나다의 지역주의와 각 지역의 정치문화 ’
산업화와 사회주의 확산
프랑스 이주민 정착
농업사회의 보수성 + 사회민주주의 확산
보수적 성격
양당제에서 다당제로
‘1988년 이전과 1993년 이후’
1988년 이전과 1993년 이후
1988년 총선 vs 1993년 총선
1988년
1993년
1993년 투표 결과
양당제 중심에서 다당제로의
정당체계 개편
‘지역주의 정당’의 출현
⇒ 지역화 심화
투표행태 변화의 요인
‘다차원적 균열구조’ 표출
지역주의 vs 보편주의
물질주의 vs 탈물질주의
새로운
균열구조의 등장
진보보수당의 경제개혁 실패
⇒ 시민사회의 도전에 직면
기존의 체제가 시민사회의 요구를 반영하지 못함
지역정당들의 출몰
⇒ 퀘백연합, 신민당 부상
잠재 세력의 존재
다당제에서 양당제로
‘2011년 총선’
2011년 총선
2011년 총선의 결과
보수당의 정권 재창출
2011년 총선의 결과
신민당의 돌풍
2011년 총선의 결과
자유당과 퀘백당의 몰락
결 론
결 론
* 1993년 총선 ⇒ 새로운 사회 균열구조 등장
⇒ 지역주의 정당 등장
‘양당제에서 다당제로 정당체계 개편’
* 2011년 총선 ⇒ 자유당과 퀘백당의 몰락
⇒ 보수당과 신민당을 중심으로
‘ 양당제적 특징 ’
참고 자료
없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