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뢰벨의 교육방법, 은물, 프뢰벨교육사상의 의의와 비판
- 최초 등록일
- 2012.04.19
- 최종 저작일
- 2012.04
- 17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프뢰벨의 생애, 교육관, 교육의 원리, 교육방법, 은물(개요,놀이순서),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와 비판에 관하여 조사하였습니다.
목차
1. 프뢰벨의 생애
2. 프뢰벨의 어린이 발달과정의 구분
1) 영아기(0~3세)
2) 유아기(3~7세)
3) 소년기(8~10세)
3. 프뢰벨의 교육관
4. 프뢰벨 교육의 원리
5. 프뢰벨의 교육 방법
1) 통일의 원리
2) 자기활동의 원리
3) 노작의 원리
4) 놀이의 원리
5) 연속적 발달의 원리
6. 프뢰벨의 은물
1) 제 1은물 ~ 10) 제 10은물
7.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와 비판
1) 프뢰벨 교육 사상의 의의
2) 프뢰벨교육 사상의 비판
【 참고자료 】
본문내용
1. 프뢰벨의 생애
유치원 교육의 창시자인 Friedrich Wilhelm August Frobel은 1782년 4월 21일 독일 튀리겐 산림지인 오버바이스바흐에서 목사의 막내아들로 태어났다. 생후 9개월 만에 그의 어머니가 사망하였고 아버지는 마을의 수석 목사로 활약하며 항시 바빴기 때문에 그는 어린 시절을 외롭게 보내면서 산림과 자연을 벗 삼아 지내는 시간이 많았다. 이런 생활 속에서 그는 신비적이고 종교적인 감정을 지니게 되었다. 또한 1797년부터 2년간 프뢰벨은 임업실습생으로 일하면서 자연과 더욱 밀착되었다. 그는 1799년 예나(Jena)대학에 들어갔다. 거기에서 그는 자연과학관계의 강의를 비롯해서 철학가의도 들었다. 정렬적인 피히테 철학은 이곳 예나에서도 학생들 사이에서 인기가 있었다. 마침 예나에는 피히테의 수제자의 한 사람인 쉐링(Friedrich Wilheln Schelling)이 낭만주의 철학자로서 활약하였는데 프뢰벨도 물론 그의 강의를 들었다. 예나대학에서 프뢰벨은 다양한 것들의 통일과, 모든 존재의 내적연결 등을 인식하였다. 그 후 1801년 대학생활을 떠나 고향으로 돌아와 측량기사, 재산관리인, 산림감시원 등으로 전전하다가 페스탈로치(pestalozzi)의 제자인 구르너에게 소개되어 그는 학교의 교사가 되었다. 프뢰벨은 이곳에서 처음으로 자기의 사명을 깨달을 수 있었다. 3일 후 그는 이페르템(Iferten)으로 페스탈로치를 방문했다.
참고 자료
이상욱,정희영,최영해 외 2명 저(2011)「유아교육개론」학지사
J. 클리버리, D.C. 필립스 저, 김태오,김병희 역(2006)「유아교육철학」양서원
최양미(1995)「프뢰벨 유아교육방법의 의의에 관한 연구」人文科學硏究, Vol.3 No.1
황미경(2006)「은물 놀이를 통해서 본 프로벨의 교육방법」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자현(2006)「프뢰벨의 가베 놀이학습이 미취학 아동 미술교육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한양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김용헌(2003)「프뢰벨의 『인간교육』에 나타난 合一思想 硏究」경상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임채란(2003)「프뢰벨 은물(Gift)놀이학습이 유아의 창의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경기대학교 교육대학원 논문
이민아(1998)「프뢰벨(Frobel)의 幼兒敎育理論과 實踐原理에 관한 硏究」단국대학교 행정대학원 논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