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선정동기
2. 수업분석의 중점 요소
3. 수업계획서의 분석
4. 수업비평(지도안, 수업 모형, 발언 및 행동비판, 피드백, 학생수준에 따른 수업의 적절성)
5. 결론
본문내용
1. 선정의 동기
이 동영상의 선정의 동기는 무엇인가? 간단히 말하면 `과제`때문이겠지만, 가장 본질적인 목적은 예비 교육인으로서 수업에 주체적으로 관심을 가지고 접근하고 싶었기 때문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경우에는 교육에 있어서 과거의 관습을 답습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여전히 수업은 교사 중심의 일방적인 수업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학습자의 수업참여는 제한되거나 경시되어있다. 그리고 중·고등학교의 경우에는 단지 수업이 상위학교 진학을 위해서, 대학교는 단지 취업을 위한 방법으로서 교육의 본질을 탐구하는 것이 아닌 목적을 지닌 수단으로서 변질이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학생들은 상위학교의 수업에 제대로 적응하지 못하는 등 많은 사회적인 문제점이 야기되었다. 조별 전사 및 비평의 활동에서 내가 속한 `남탕` 조는 이러한 기존의 교사중심의 전통적인 방식에서 벗어난 학습자 중심의 `한국지리-역할놀이`라는 역할극 수업을 선정하였다. 그러한 이유는 사회과 과목이 `암기과목`으로 가장 질타를 많이 받는 과목임과 동시에 학생들이 학습의 주체임과 동시에 스스로 터득할 수 있는 학습에 주안점을 두고 단순히 이론이 아닌 체험위주의 사회과 수업을 원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역할놀이 수업의 경우 조별활동에서 얻을 수 있는 많은 목적을 얻을 수 있었다. 브레인 스토밍 방식을 통해서 학생들의 창의력을 요구한다던지, 역할극을 통해서 학습자 스스로 역할극을 통해서 내용에 관하여 숙지할 수 있는 기회를 만들어 준다든지. 그러나 앞선 역할놀이의 경우에는 수업지도안에 있어서 강조되지 않은 부분이 있었고, 교사의 습관적인 발언이나 행동이 눈에 많이 보였으며, 고3을 대상으로 하다 보니 학습자의 수준이 높았고, 수업 내용에 있어서 난이도가 적절치 못했기 때문에 유사한 동영상을 시청하고 개인적으로 나마 비교해 보고 싶었기에 기말고사 대체 과제로서 역할극는 다르지만 역사교육의 내적비판 중 맥락적 비판(그 시대적 관점에 비추어서 역사적 사실을 이해하는)을 토대로 한 추체험 활동(그 당시의 인물의 감정이 되어서 직접 접근하는 방법)으로 수업을 전개한 고1사회 `동학농민운동 추체험 협동학습`이라는 내용을 선정을 하게 되었다.
참고자료
· 동영상의 출처(경기 교육 인터넷 방송 → 2009 우수수업 교과부 → 고1 사회 동학농민운동 추체험 협동학습) - http://www.ggetv.net/scnt/viewPlay.asp?bid=4975&rf1cd=20&rf2cd=2012&rf3cd=201213&rf4cd=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