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태평양의 글로벌 브랜드 전략의 배경
1) 국내 화장품 시장의 경쟁심화
2) 수입 화장품의 급증
3.태평양 중국진출의 배경과현황 및 전망 분석
1) 중국시장 진출 현황 및 배경
2) 중국시장 진출 과정
3) 중국 화장품 시장의 특징 및 현황 분석
4) 중국내에서 태평양의 SWOT 및 외부환경분석
5) 태평양의 중국시장 공략과 성과 분석
-중국 심양과 상하이 공략
6) 앞으로의 전략 방안
Ⅲ.맺으며
참고자료 및 사이트
본문내용
Ⅰ.(주)아모레퍼시픽을 들어가며
태평양은 브랜드 전략을 효과적으로 추진해온 대표적인 기업이다. 성·연령·소득별로 고객층을 설정, 그에 맞는 브랜드 전략을 펼쳐왔다. 그 결과는 시장점유율의 상승으로 이어졌다. 2002년까지만 해도 27%대에 머물던 국내 시장 점유율이 2005년에는 32%대로 껑충 뛰어올랐다. 이에 태평양은 선진국 화장품 업체들처럼 회사 이미지보다 브랜드 위주로 전략을 바꾸고 국내 및 해외시장의 확대를 구상하고 있다.
태평양은 일찍이 해외시장에 눈을 돌려 기업의 글로벌화를 위해 노력해오고 있다. 태평양은 현재 세계 10대 화장품 회사로 성장하기 위한 글로벌 비전을 가지고 2000년 아모레퍼시픽을 사명으로 주창하며 보다 전략적인 관점에서 글로벌화를 위한 해외사업에 박차를 가하고 있으며, 현재에도 다양한 브랜드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라네즈를 ‘아시아 브랜드’로 키우기 위해 중국시장 진출에 앞서 2002년 5월 홍콩 소고(SOGO) 백화점에 1호점을 오픈했다. 홍콩에 12개의 매장을 열었으며 9월 현재 매장당 월 평균매출이 1억원을 초과하는 등 좋은 결과를 낳고 있다.
태평양은 중국 유행의 발신지인 상하이에 현지법인을 설립하고, 2002년 9월부터 라네즈 브랜드로 중국시장을 본격 공략하고 있다. 백화점만 집중공략한 결과, 올 상반기 현재 상하이의 고급 백화점인 팍슨(百盛), 태평양(太平洋) 등 주요 25개 도시 80여개 백화점에서 매장을 운영하고 있다.
태평양은 중국에서 라네즈로 예상을 뛰어넘는 성공을 거두고 있다. 당초 2005년 내에 매장당 월 1000만원의 매출을 달성하면 대성공이라고 예상했으나, 이미 1일 매출 3000만원이 넘는 매장이 출현했다. 또 월 2억원의 매출을 기록하는 매장도 곧 탄생할 전망이다.
태평양은 홍콩과 중국 시장에서 구축한 브랜드 이미지를 기반으로 라네즈 브랜드의 아시아화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2003년 싱가포르의 이세탄 백화점에 진출했고, 지난해에는 대만의 미쓰코시 백화점, 인도네시아의 소고(SOGO) 백화점 등에 진출해 현지 소비자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또 지난해 9월에는 한방화장품 설화수가 홍콩 센트럴 빌딩에 부티크 형태의 독립매장을 연 데 이어, 10월에는 세이부 백화점에 입점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