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회계정보투명성 제고 실행계획
■본론
Ⅰ.회계정보 투명성이 낮은 원인
1.회계정보의 투명성 결정 요인
2. 투명성 결정요인별 문제점
Ⅱ.투명성 제고방안 마련 결과 및 개선의 기본방향
1. 투명성 제고방안의 마련 경과
2. 투명성 제고의 기본 방향
Ⅲ. 회계기준의 분야별 세부 개선 내용
1. 기업회계기준의 국제화
2. 결합재무제표 작성기준 제정
3. 금융기관 회계제도 개선
Ⅳ. 외부감사제도 및 감리제도의 개선방안
1. 외부감사제도의 개선
2. 감리제도의 개선
Ⅴ. 회계기준제정기준 신설 등 중 ·장기 개선방안
1. 민간회계기준제정기준 설립
2. 감사위원회 제도 도입
■결론
회계투명성 보장장치 급선무
《참고문헌》
본문내용
`97년 하반기의 외환위기를 계기로 우리 경제가 IMF경제체제로 전환되면서 경제구조의 전반적인 문제점이 드러나게 되었고, 이에 따라 기업경영의 투명성 제고가 중요한 현안으로 대두되었다. 기업경영의 투명성은 회계정보를 통하여 이루어지므로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높여서 외국인 투자자의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야말로 외국자본 유치 및 경제회복의 중요한 관건으로 인식되기에 이른 것이다. 이에 따라 기업회계 및 외부감사제도를 운영하는 관련기관들간에 회계정보의 투명성을 제고하기 위한 제도적인 개선방안이 다각도로 추진되어 왔다.이러한 노력은 `98. 4. 1. 금융감독위원회 및 증권선물위원회가 출범하면서 본격화되기 시작하였는바, 회계제도특별위원회 및 전문심의기구(회계기준심의위원회 및 감리위원회)를 구성하여 국내외 전문가들의 의견을 수렴하고, 실무적 추진 부서인 증권감독원 회계관리국의 구체화작업을 거쳐 우리나라의 기업회계투명성을 저해하고 있는 분야별 문제점을 도출하고 그에 대한 종합적인 개선방안 및 추진일정계획을 마련하게 되었다.
기업회계정보의 투명성은 회사의 재무상태와 경영성과를 적절하게 공시하도록 그 처리방법을 정하는 기업회계기준의 수준이나, 회사의 기업회계기준 준수 의지, 감사인의 감사 및 이러한 과정에 대한 사회적인 감시체제 등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2002 금융감독원 기초자료회계원리 이기호 外 2 무역 경영사
회계원리 곽수근 外 박 영 사
工場自動化 原價會計·財務會計 槪念에 관한 第5報告書
(미국회계사업협회·재무회계기준심의회 편 박무현 역)
企業利益 -理論과 測定-(E. Edwards, P. Bell 共著/ 朴武鉉 譯)
企業財務諸表의 기초가 되는
基本槪念과 會計原則 (美國公認會計社會 編/ 徐永洙, 申洪哲 共譯)
基礎的 會計理論에 관한 報告書 (美國 會計 學會 著/鄭基淑, 黃潤植 共譯)
財務報告의 目的과 會計情報의 質的 屬性 (財務會計基準審議會 編/ 尹現東, 李重熙 共譯)
財務諸表의 目的 (美國公認會計士會 編/ 金善政 譯)
會計理論과 理論受容에 관한 報告書 (美國會計學會 著/ 鄭基英, 裵炳漢 共譯)
比較經濟論 (Paul Hensel 著/金漢圭 譯)
中國經濟論 (李末南 著)
Askling, B.(1989: 293). Structural uniformity and functional diversification. Higher Education quaterly, 43(4), 289-305.
Eleiklie, I.(1998). Justifying the evaluative state: New public management ideals in hig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Vol. 33, Issue 3 299-316.
David D.(1998). Evaluating the 'Evaluative State': Implications for research in higher education.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Vol. 33 Issue 3, 361-378.
Ferle, E., Ashburner, L., Fitzgerald, L. and Pettigrew, A.(1996). The New Public Management in Action. Oxford: Oxford University Press.
Neave, G.(1988). On the cultivation of quality, efficiency and enterprise: An overview of resent trends in higher education in Western Europe, 1986-1988. European Journal of Education, Vol. 23, No. 1-2, 7-23.
Dale, R.(1989). The State and Education Policy. Milton Keynes: Open University Press.
Saha, L. J. (ed.)(1997).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the Sociology of Education. Oxford: Pergamon.
Skinningsrud, T.(1994). States or market? neo-liberal solutions in educational policies. Education in Africa. Vo1. 3.
Tooley, J.(1995). Disetablishing School. Aldershot: Avebury.
Trow, M.(1973). Problems in Transition from Elite to Mass Higher Education. San Francisco: Jossey-Bass/Carnegie Council on Higher Education.
Whitty, G. et al.(1998). Devolution and Choice in Education. Buckingham: Open University Press.
교육부(1999). 교육발전5개년계획시안.
교육부(2000). 국가 인적자원개발정책 추진현황. www.moe.go.kr
교육부(2000). 국립대학 발전계획. www.moe.go.kr
교육부(2000). 사학에 대한 세제 등 간접지원계획. www.moe.go.kr
국회사무처(1998). 1999년도 예산안 분석보고서(1).
김영식(1995). 대학 자유화 정책의 방향과 내용. 대학교육
김영식(1995). 대학 자율화 정책의 방향과 내용. 대학교육. 제95<font color=aaaaff>..</font>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회계학] 회계의 투명성에 대하여 18페이지
- [환경회계] 환경회계의 국내도입방안에 관한 연구 20페이지
- [회계원리] 회계투명성 2페이지
- 백석대학교 대표 레포트표지 1페이지
- 회계투명성과 기업지배구조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