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폐성 장애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사회복지 해결방안
*성*
다운로드
장바구니
소개글
A플러스 받은 레포트입니다. 도움이 많이 되길 바래요목차
I. 서론II. 이론적 배경
1. 자폐성 장애의 특성
2. 역학
3. 자폐성 장애의 원인
4. 자폐성 장애의 진단기준
5. 자폐성 장애의 임상양상
6. 자폐성 장애의 감별진단
7. 자폐성 장애의 경과 및 예후
8. 자폐성 장애의 치료
9. 가족치료 이론
II.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문제와 능력고취
1. 장애인 가족의 일반적 문제와 현황
2. 자폐성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의 필요성
3. 장애인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단계 및 방법
4. 장애인 가족을 위한 집단 프로그램
5. 세계의 발달장애인 복지정책
IV. 자폐성 장애인 가족 사회복지 해결방안
1. 자폐성 장애인 가족 지원 사회복지 실천방안
2. 자폐성 장애인 가족 지원 사회복지 정책 방안
V.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I. 서론미 MSNBC는 ‘자폐, 드러나지 않는 유행병?’이라는 특집기사에서 자폐성 장애로 보이는 아이들이 주위에서 늘어나고 있다며 자폐증이야말로 수많은 사람을 고통스럽게 만드는 21세기의 새로운 재앙이라고 보도했다.
미국 질병통제방지센터 자료에 따르면 1960년대만 해도 미국의 자폐아 비율은 아이 2000~2500명당 1명꼴에 불과했다. 그러나 현재는 1000명에 5~6명이 자폐아 혹은 자폐성향(ASDs)으로 판정받고 있다. 이제 자폐는 정신지체에 이어 가장 흔한 발달장애가 되었다.
우리나라의 자폐아 또한 과거에는 1만명당 4~5명 정도에게서 보이는 비교적 드문 장애였으나 최근에는 발병률이 늘어 대략 4만명의 아이들이 자폐아로 추산되고 있다.
그러나 자폐는 어떤 경우든 치료가 가능하고 증상이 충분히 완화될 수 있는 병이다. 전문가들이 동의한 UCLA자폐센터 로바스 박사의 연구 결과에 의하면 유아기에 전문가로부터 하루 8시간 이상, 일주일에 닷새 이상 2년간 집중적인 치료를 받으면 자폐아의 40% 이상이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할 수 있다고 하였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자폐성 장애 치료에 있어서, 특별한 학습을 제외하고는 거의 하루 종일 1:1 치료 교육을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전문가의 수와 도움이 턱없이 부족한 우리 사회에서 이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사람은 가족이라 하겠다. 특히 어머니의 역할과 힘이 절대적이라 할 수 있다.
참고 자료
오혜경, 정소영(2003) “학령기 장애아동의 양육부담과 가족지원” 도서출판사 신정정이정, 보상영, 인복순(2003) “발달장애 아동과 가족복지의 실제” 현학사
김숙자(1996) “부모참여 교육론” 교학사
신예리(2001,8,3, 중앙일보) “속으로 우는 자폐아 부모들”
양숙미(1998) “성인 정신지체인 가족의 능력고취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에 관한 기초 연구”
강웅(2008), “장애아 가정의 가족기능 향상에 관한 연구”
손유니(2004) “능력강화를 위한 가족지원 프로그램이 장애아동 부모의 스트레스와 자기 효능감과 대처능력에 미치는 효과”
김희순(1988). “정서, 정보적 지지 모임이 만성질환아 어머니의 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연세대학교 박사학위논문.
심재경(1991). “정서장애아동 부모의 의사소통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조사연구”. 서울여자대하교 석사학위논문.
우애령(1995). “현실요법을 적용한 집단사회사업 프로그램개발”. 연세대하교 박사학위논문.
오승환(1996). “장애가족에 대한 집단사회사업실천에 관한 연구: 자폐아 어머니를 중심으로”. 사회복지연구, 7권, 236-261.
오세란(1997). “발달장애아동 부모의 문제해결능력 증진을 위한 인지행동 집단프로그램의 효과성 연구”.. 서울대하교 박사학위논문
Condeluci, A. (1991). Interdependence: The Route to Community. Winter Park, FL:PMD Publisher Group, Inc.
Pinderhughes, E. (1983). Empowerment for our clients and for ourselves Social Casework, Vol.64, 331-338.
Rappaport, J. (1985). The power of empowerment language. Social Policy, Vol.17, 15-21.
Gutierrez, L. M. (1990). Working with women of color: An empowerment perspective. Social Work. Vol.35, 149-153.
Hegar, R. L. & Hunzeker, J. M. (1988). Moving toward emopowerment-based practice in public child welfare. Social Work, Nov-Dec., 499-502.
Beck, R. J. (1994). Empowerment as Vehicle to Empowerment in Counseling : an existential perspective. Journal of rehabilitation, Jul-Sep, 6-11.
이 자료와 함께 구매한 자료
- 사회복지정책의 형성과정에 대해 설명하시오 3페이지
- 자폐성 장애와 사회복지 해결방안 17페이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