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주의권의 붕괴와 함께, 모두가 자유시장 민주주의의 승리를 찬양하며 ``역사의 종말``을 외쳐댔다. 그러나 그와 동시에 동남아시아에서 라틴 아메리카까지, 러시아에서 아랍, 아프리카까지, 전세계 제3세계 개도국들은 하나같이 민족 분쟁의 소용돌이에 휘말려 들었다. 구 유고 연방 내전, 팔레스타인-이스라엘 분쟁, 르완다의 투치족 대학살, 인도네시아의 대(對) 중국인 폭동, 그리고 최근의 9.11과 이라크 전쟁 등.
예일대학 법대 교수인 에이미 추아는 이 모든 민족 갈등의 원인을 세계화에서 찾는다. 세계화가 바로 ``불타는 세계``를 낳은 진짜 원인, 곧 세계化는 ``세계火``라는 것이다.
세계화가 시대의 화두가 된 지도 꽤나 오래인 듯하다. 주위를 잠시 둘러보자. 지구 반대편 나라에서 만든 제품이 시장에 넘쳐나고, 이제는 이상할 것이 없어져버린 해외여행, 한 나라에서의 사건, 사고는 미디어를 타고 온 세계로 순식간에 퍼져나가며, 유가와 환율, 테러와 전쟁, 환경문제 등 이제는 더 이상 한 나라에 국한되지 않은 수많은 현상들이 전 세계에 복잡하고도 다양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에 따라 각국의 정부, 기업 그리고 시민들은 적응하지 못하면 살아남기 힘들지도 모르는 이 심대한 변화와 시대의 흐름에 뒤쳐지지 않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이러한 노력의 출발점은 무엇보다도 이 전대미문의 변화를 잘 이해하는 것부터 시작될 것이고, 사람들은 세계화라는 현상을 이해하기 위해 오랫동안 힘써 왔다. 인터넷에 “Globalization"이란 단어가 포함된 웹 싸이트가 1000만개가 넘고, “세계화”라는 단어가 들어간 한글 웹싸이트만 해도 20만개가 훌쩍 넘는다. 이 뿐만 아니라, 세계화라는 주제를 다룬 경제학과 사회학, 정치학과 경영학등의 논문들이 쉬지 않고 쏟아져 나오고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