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관장의 종류, 사용하는 용액의 양과 투여 횟수 등을 확인한다.
2) 대상자는 엎드려 좌측을 아래로 하여 누워 오른쪽 다리를 구부린다. 이러한 자세는 S자 결장과 하행 결장으로 중력에 의해 용액이 잘 흘러가도록 하고, 오른쪽 다리를 구부리는 것은 항문의 노출을 충분히 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슬흉위(knee chest position)를 취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는 용액이 더 깊숙이 주입되어 대장 하부에는 관장액이 적게 있게 된다.
3) 가까운 곳에 변기를 놓아 대상자의 긴장감을 완화시킨다.
4) 관장 통에 관장 용액을 붓는다.
5) 직장 튜브 끝에 윤활제를 바른다.
6) 대상자에게 심호흡을 하게 하고 ‘아’ 소리를 내도록 한 후 직장관을 배꼽을 향해 항문에 삽입한다. 심호흡은 괄약근을 이완시키며, 직장관을 배꼽을 향해 넣는 것은 직장의 길이에 따라 튜브가 들어갈 수 있도록 해준다.
7) 튜브 조절기를 열고 직장 안으로 소량의 용액을 주입한 후 튜브를 일단 막았다가 유입한다. 이는 장의 경련이나 혹은 항문괄약근이 열리지 않았기 때문인데 소량의 용액은 경련을 감소시키고 괄약근을 이완시킨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