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날 한국교회는 수많은 문제에 봉착해 있다. 지난 2007년경, ‘Again 1907’을 외치며, 곳곳에서 수없는 기도회와 부흥집회등이 열려, 평양의 대부흥과 같은 뜨거운 부흥의 물결이 퍼져 이 시대에 널리 회복되어가기를 원했지만, 돌이켜 보면 당시에는 모교회 장로가 사장으로 있었던 회사의 비정규직 문제로 큰 파장을 일으킨 일명 ‘이랜드 파장’과 아프카니스탄 선교를 갔던 이들이 무장단체에 잡혀 사회적인 잇슈로 떠오른 ‘샘물교회’ 문제로 인한 교회를 향한 사회적인 지탄은 극에 달한 시기였다.
조사된 자료에 의하면 한국교회는 1990년대 초기를 기점으로 조금씩 쇠퇴해 가고 있다. 왜 이런 결과가 나오고 있는 것일까? 또한 왜 한국교회는 많은 이들로 하여금 비판을 받아야 하며, 왜 한국 기독교인들은 부정적인 시각을 안고 살아가야 하는 것일까?
나는 이러한 문제를 진정한 복음의 부재와 그 진정한 복음을 받아들이는 성도의 부재에서 그 해답을 찾고자 한다. 즉, 오늘날 우리가 살아가는 이 세대 가운데에는 너무나도 많은 말씀이 곳곳에서 울려퍼지고 있지만, 진정한 복음이라고 불려질만 말씀이 없고, 혹여 있다하더라도 그것을 받아들이는 성도가 진정으로 삶속에서 나타내는 말씀이 생명이되어 삶을 변화시키는 모습이 극히 드물다는 것이다. 그래서 사람들은 수없이 많은 교회에서 수없이 많은 말씀을 듣긴 하지만, 진정한 기독교인으로서의 모습을 찾아보기가 어렵다.
참고자료
· 김남준. 『기롤라모 사보나롤라』. 서울: 도서출판 솔로몬, 2007.
· 바르바라 다임링. 『산드로 보티첼리』, 이영주 역. 서울: 마로니에 북스, 2005.
· K. S. Lee 1999:21-22; the National Statistics Office of Korea 1985, 1995 and 2005
· 박영근,기롤라모 사보나롤라(Girolamo Savonarola)의 설교 이해와 현대의 예언적 설교
· 연구, 장로회신학대 대학원(2003)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