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실험 목적
본 실험은 II-VI족 반도체의 하나인 카드뮴셀레나이드(CdSe)나노입자를 콜로이드 용액 법으로 합성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나노 입자가 어떠한 메커니즘으로 형성이 되며 그 특성을 발휘하기 위해서는 어떠한 조건들이 있는지 이론적으로 습득하고 표전 의존적인 나노입자의 특성 및 제어하는 방안을 이해한다. 또한 합성된 나노결정의 광학적 특성 중 하나인 UV/vis absorption spectrum을 측정 및 분석하여 양자크기효과 (quantum size effect)에 대한 이해를 하도록 한다.
2. 이론
나노과학기술(Nano Technology: NT)은 나노미터(10억분의 1미터) 크기의 나노구조체를 합성하거나 조작하여 전기적 기계적 성능이 월등한 소재를 개발하거나 빠르고 저렴한 소자를 제작하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나노과학 기술의 잠재력은 나노구조체의 탁월한 물리적 화학적 특성에 기초하고 있으며 세계적 기술을 선도하는 정보기술(Information Technology IT)바이오기술(Biotechnology BT) 그리고 환경기술(EnvionmentalTechnology ET) 등을 가능하게 하는 기초기술이라는 점에 있다. 나노과학기술에서 요구되는 나노구조체의 크기는 기껏해야 수십 개의 원자 및 분자의 모임 크기 정도이다. 따라서 나노 과학기술의 발전에는 원자 및 분자 수준에서 물질을 제어하는 능력이 핵심이다. 나노과학기술의 시발점은 1965년 리처드 파인만이 원자들은 조작한 나노구조체의 이용을 개념적으로 제기한 것이라고 하지만 나노과학기술의 실현은 실공간에서 원자 개개를 관찰하는 주사투과현미경(Scanning Tunneling Microscopy: STM)의 개발과 이를 이용하여 원자들을 보여준 사진들에 의해 시작되었다고 할 수 있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