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통창살의 리듬감과 비례
- 최초 등록일
- 2012.02.06
- 최종 저작일
- 2010.04
- 50페이지/ MS 파워포인트
- 가격 4,000원
소개글
전통창살의 리듬감과 비례에 대해 공들여 자료조사와 생각들을 써놓은 레포트입니다. 템플릿은 촌스럽지만,
내용은 촌스럽지 않습니다. A+ 받은 학기말 레포트였으니, 참고하시고 좋은 성적이나 결과 얻으시길 바랍니다.
목차
1. 창호의 의미
2. 창호의 시대적 발전과정
3. 창살의 종류
4. 창호의 이미지에 대한 표현
5. 창호에 나타난 문양의 상직적 의미
6. 창호의 비례치
7. 결론
본문내용
1. 창호의 의미
사전상의 의미
?건물 내부를 외부와 차단시키기 위해 창이나 출입구 등의 개구부(開口部)에 설치되는 각종의 창이나 문을 말하는데,?그 사용재료에 따라 목제 창호와 금속제 창호로 분류되나?최근에는 플라스틱에 의한 문이나 창틀 등도 만들어지고 있다.
창 : 일반적으로 어떤 건물에 드나들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이 문이고, 건물의 내부공간에 빛과 공기를 받아들이고 또 조망을 하기 위해 설치한 시설물
서양건축에서는 ‘door’ 와 ‘window’로 명확하게 구분우리 전통건축에서는 그 구분이 명확하지 않음.
대목장 - 문
소목장 - 창호
2. 창호의 시대적 발전과정
선사시대와 성읍 국가시대
구석기 시대 ? 원시주거, 자연의 위험에서 자신의
몸을 보호하기 위한 것으로 맹수의
침입을 피하고 안전하게 잠을 잘 수
있는 것
최초 원시 주거형태 - 자연지형을 이용한 동굴
(경기도 연천군 전곡면 전곡리 유적과 함경북도 웅기군 굴포리의 제 1기층 유적)
구석기 후기 - 3만 5천년에서 1만 년 전, 한뎃집
구석기시대의 자료 중 창호에 관한
것은 찾아보기 어렵고 다만 추측.
중석기시대 - 개구부만 뚫어 출입.
이때까지도 문짝이나 창문은 없었을
것이라 추정
신석기시대 - 해안이나 강가, 그리고 강을 낀 언덕 등지
원형, 타원형 또는 네모를 죽인 사각형보다
큰 장방형(직사각형)
청동기시대 - 움집
참고 자료
임석재(2005) 한국의 꽃살, 기둥, 누각 ,
이화여자대학교 출판부
김정기(1997) 한국 목조 건축 ,
일지사
주남철(2001) 한국의 문과 창호,
대원사
이환규(2007) 한국전통건축에서 창호를 중심으로한 조각적 기법 응용에 관한 연구,
조선대학교 교육대학원
박지연(1999) 한국, 중국, 일본의 전통창살비교분석연구,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박일구(2005) 한국의 절집문창살에 관한 기록적 연구,
중앙대학교 대학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