빠르고 격렬한 소리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사물놀이는 본래 한국의 전통적인 풍물굿에서 파생되어 발전된, 이제 막 30년이 갓 넘은 현대적으로 각색된 창조적 전통음악이다.
풍물과 사물놀이에 대한 바른 이해와 그 차이를 서술한 보고서 입니다.
목차
1. 문제 인식 : 풍물굿에 기반한 사물놀이
2. 풍물굿이란?
2.1 풍물굿의 정의
2.2 풍물굿의 역사적 배경과 유래
2.3 풍물굿의 유래에 대한 몇 가지 학설
- 풍농안택설
- 불교관계설
- 군악설
2.4 풍물의 중심구성요소
3. 사물놀이란?
3.1 사물놀이의 시작
3.2 사물놀이의 형성
3.3 사물놀이의 음악적 특질
- 가죽악기와 금속악기의 조화
- 사물놀이의 원리
(1)점층적 가속
(2)긴장과 이완의 원리
(3)음양의 조화
4. 풍물굿과 사물놀이의 비교
- 연주형태
- 장르구분
- 음악적 특징
- 연주시간
- 연주인원
참고문헌
본문내용
1. 문제 인식 : 풍물굿에 기반한 사물놀이
‘전국민속경연대회 예선에 ‘사물놀이’팀이 나왔다.’라는 말에 이상한 점을 느낄 수 있는가? 아마도 대부분은 별다른 문제점을 못 느낄 것이다. 이는 요즈음 한창인기를 모으고 있는 사물놀이에 대해 바른 이해가 전제되지 않았기 때문이라 할 수 있다. 빠르고 격렬한 소리로 한국뿐만 아니라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는 사물놀이는 본래 한국의 전통적인 풍물굿에서 파생되어 발전된, 이제 막 30년이 갓 넘은 현대적으로 각색된 창조적 전통음악이다. 풍물에 대해 이미 마련된 기록과 전통에 따라, 편견을 시정하고 인식과 사고의 전환을 통해 발전하게 된 사물놀이는, 일찍이 논두렁이나 마을의 큰 마당에서 놀아지던 우리네의 소박한 두드림을 실내연주용으로 재구성해서 개발하여, 폭발적인 인기와 호응을 얻으면서 세계에 널리 알려지게 된 창조적 전통 음악이라고 할 수 있다.
사물놀이는 서구지향적 가치관에 맞서 우리에게도 진정한 것이 있고, 우리의 것이 곧바로 서구적 사고를 격파하고 세계적인 것으로 비약할 수 있다는 한 가능성을 보여줬다. 이러한 사물놀이의 일정한 구실에는 크게 찬사를 보내야 하나, 앞의 예와 같이 적지 않게 사람들을 장님이나 귀머거리로 만든 점은 비판받아 마땅할 것이다. 그것은 튼튼한 비판자가 없어서이기도 하겠으나 안이하게 답습하고 있는 우리의 몫이기도 하다. 우리는 험난한 황무지를 개척하고 살았던 우리네 선조들의 과거를 기억하고, 청중으로써 이러한 사실을 외면하지 말아야 한다.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