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개발 특수목적회사 spc에 관한 자료입니다. 프로젝트파이낸싱과 비교분석되어있는자료입니다.
목차
부동산관련 SPC(Special Purpose Company) 분류
SPC(Special Purpose Company) 설립목적, 효과
특수목적법인(SPC)의 종류 및 내용
부동산개발 SPC 기본구조
부동산개발 SPC 사례
PFV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1) 특징
(2) 장,단점
(3) 법인세법에 의한 기본구조
(4) 요건사항
(5) 설립관련
(6) 관련 세법 규정
(7) 사례
해외 부동산개발 과정
(1) 개발과정
(2) 자금형태
(3) 구조
(4) 사례
<참고서적>
본문내용
3. 부동산개발 SPC 기본구조
SOC(사회간접자본)사업을 제외한 일반적인 부동산개발프로젝트의 경우, 2~3개 이내의 출자자들이 설립한 최소한의 상업상의 규정에 의한 SPC와, 단일기관에 의한 Project Financing, 개발사업의 일정부분을 보증하고 시공에 참여하는 건설사등으로 이루어진다.
Joint venture (합작투자)
2개국 이상의 기업·개인·정부기관이 영구적인 기반 아래 특정기업체 운영에 공동으로 참여하는 국제경영방식으로 전체?참여자가 공동으로?소유권을 갖는다.?공동소유의 대상은?주식자본·채무·무형고정자산(특허권·의장권·상표권·영업권?등)·경영노하우·기술노하우·유형고정자산(기계·설비·투자 등)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하다.
합작에 참가하는 기업들이 소유권과 기업의 경영을 분담하여 자본·기술 등 상대방 기업이 소유하고 있는 강점을 이용할 수 있고 위험을 분담한다는 점에서 상호이익적 해외투자방식이다.
참고자료
· 금융기관의 부동산 프로젝트 파이낸싱 활성화 방안에 관한 연구 : 현실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 이범구 / 2010
· 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 (Project Financing Vehicle) 제도의 현행 문제점과 개선방안 연구 / 강남대학교 부동산행정대학원 부동산학과 / 손재종 / 2008
· 해외 부동산개발 기획전문가과정 / 해외건설협회 / 2008
· 베트남 부동산 시장분석 및 개발사업에 관한 연구 – 호치민시 주택시장 개발사업 중심으로 - / 장병권 / 2007
· 부동산관련 특수복적회사 (SPC)에 관한 연구 – PFV(프로젝트금융투자회사)를 중심으로- / 건국대학교 대학원 부동산학과 / 김승규 / 2005
자료의 정보 및 내용의 진실성에 대하여 해피캠퍼스는 보증하지 않으며, 해당 정보 및 게시물 저작권과 기타 법적 책임은 자료 등록자에게 있습니다. 자료 및 게시물 내용의 불법적 이용, 무단 전재∙배포는 금지되어 있습니다. 저작권침해, 명예훼손 등 분쟁 요소 발견 시 고객센터의 저작권침해 신고센터를 이용해 주시기 바랍니다.
해피캠퍼스는 구매자와 판매자 모두가 만족하는 서비스가 되도록 노력하고 있으며, 아래의 4가지 자료환불 조건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파일오류
중복자료
저작권 없음
설명과 실제 내용 불일치
파일의 다운로드가 제대로 되지 않거나 파일형식에 맞는 프로그램으로 정상 작동하지 않는 경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