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두환정권의+외교정책 (1)
- 최초 등록일
- 2011.12.27
- 최종 저작일
- 2011.03
- 8페이지/ 한컴오피스
- 가격 2,000원
소개글
전두환
목차
Ⅰ. 서론
Ⅱ. 본론:
Ⅱ-1. 국내 정치 구조와 대외정책의 상관관계
Ⅱ-2. 국제정치의 변화 - 신냉전과 종식기
Ⅱ-3. 국내정치의 변화
Ⅱ-4. 제 5공화국의 대외정책
ㄱ. 안보정책
ㄴ. 통일정책
ㄷ. 북방정책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Ⅱ. 본론:
Ⅱ-1. 국내 정치 구조와 대외정책의 상관관계
외교정책의 가용한 목표와 그를 위한 방법들에 대한 국민적 합의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은 국내 정치적 구조에서 무엇이 정당하냐 하는 데에 대한 인식이 어느 정도의 일체가 되는 가에 따라 달려있다. 만약 지도층과 국민들 간에 이런 인식에서의 차이가 노출되고 국내정치가 불안정하다면 이 국내적 결집을 달성하기 위한 돌파구로 모험적인 외교정책을 이용하려는 유혹은 강해지게 마련이다.
이러한 국내 정치구조가 주는 압박에 의해 정책 결정자들에게 영향을 주는 일련의 상황들은 정책에 동원될 수 있는 제한된 사회적 자원들로 인해 국내적으로는 권력의 추구, 대외적으로는 생존을 그 목표로 할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권력의 정당성에 대한 견해 차이가 크고 혁명적인 지도자일 경우 국내에서는 불가능한 극적인 조치로 국내적 단결을 이루고 어려움을 벗어날 수 있는 방법으로써 외교정책을 이용하게 된다.
권위주의적 지도자로서 외교정책에서 돌파구를 마련하려는 태도는 첫 미 방문 시 안보 경제면에서 한미협력관계의 강화를 가져온 것과 남북관계에서 상호방문에 의한 정상회담을 통해 상호신뢰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결정적 계기를 마련할 것을 제의한 것 그리고 1984년 북한의 한국의 수재민들에게 구호물자를 제공하겠다는 제의를 받아들인 것 등에서 볼 수 있다.
참고 자료
외교통상부, 『한국외교 60년』, 외교통상부, 2009
· 한국정치외교사학회, 『한국외교사Ⅱ』, 집문당, 1993
· 한국외교정치사학회, 『한국 현대 정치외교의 주요쟁점과 논의』, 선인, 2009
· 유영옥, 『한국외교관계의 이해』, 홍익재, 2006
· 하영선, 『한국외교사와 국제정치학』, 성신여자대학교 출판부, 2005
· 김창훈, 『한국 외교 어제와 오늘』, 다락원, 2002
· 함택영·남공군,『한국 외교정책: 역사와 쟁점』, 사회평론, 20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