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업의 정보시스템 도입이 증가하면서, 시스템의 보안에 대한 문제는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기업의 정보시스템에 생길 수 있는 장애요인에 대해 생각해 보시고, 이를 위한 보안대책에 대한 자신의 생각과 접근방법을 제시하시기 바랍니다.
정보시스템의 장애
1. 장애의개념
정보기술서비스관리의 통제 가능성 관점에서 협의의 장애 개념으로서, 정보시스템의 통제 가능한 요인들로 인한 기능저하, 오류, 고장을 의미한다. 통제 불가능한 재해(자연 재해와 인적 재해)를 제외한 발생원인 관점에서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인적 장애, 시스템 장애, 기반구조 장애(운영 장애, 설비 장애 등 포함) 등과 같은 통제 가능한 요인들에 의한 정보시스템의 기능저하, 오류, 고장을 의미한다.
경영정보시스템
2. 장애의 범위 및 유형 분류
재해의 종류를 자연 재해, 기술적 재해, 인적 재해 등으로 분류 하고 있다. 그러므로 정보시스템 장애는 재해와 마찬가지로 몇 가지 기준(발생원인, 발생과정의 시간적 차이, 발생장소, 장애대상, 피해의 직․간접성 등)에 의해서 분류할 수 가 있다. 다. 정보시스템의 위협요인 관점에서 장애의 분류는 사람이 원인이 아닌 경우와 사람이 원인인 경우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1)사람이 원인이 아닌 요인으로 발생하는 장애
사람이 원인이 아닌 장애도 불규칙적인 경우와 규칙적인 경우로 크게 두 가지로 구분할 수 있다.
불규칙적 장애 : 정보시스템에서 발생(소프트웨어 자체 결함, 컴퓨터 구성요소의 결함,
네트워크 결함, 하드웨어 결함), 자연에서 발생 (지진, 물의 범람(강의 범람, 제방의
범람, 댐의 범람, 홍수), 번개(정전, 화재), 바람(태풍)), 물리적인 환경에서 발생
(전기합선으로 인한 화재, 정전, 절전, 예고되지 않은 전기합선, 지역의 정전), 자연
발생(화재), 물(스플링쿨러의 오작동, 상수도 파괴, 상수도 동파), 공기(먼지로 인한
오염, 위해 물질)
-규칙적 장애(예상된 사고) : 악성 프로그램 및 코드, 폭발위험물 (폭탄, 지뢰),